31일 중국 시나닷컴 등 현지 매체들은 지난 30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머스크 회장이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寧徳時代)의 창업주 쩡위친을 만나 배터리 공장 설립과 공급 등에 대한 논의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두 사람의 만남을 집중 보도했다.
3년여 만에 중국을 전격 방문, 친강 중국 외교 부장과의 회동을 가졌던 머스크는 친 부장과의 만남에서 중국이 이전과 동일한 수준에서 계속해서 대회 개방을 추진할 것이라는 약속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들은 당시 친 부장이 머스크에게 “중국의 전기차 산업은 발전 전망이 넒고, 높은 수준에서 계속해서 대외 개방 등을 추진해 테슬라와 같은 외국계 기업을 위한 더 나은 시장화와 국제 사업 운영 환경을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중국과 미국 양국의 이익은 마치 쌍둥이처럼 분리할 수 없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고 답변하고 “테슬라는 중국 양국의 ‘디커플링’에 반대, 계속해서 앞으로도 중국 내에서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회신했다.
이후 연이어 중국 전기차 업계 유력 기업가로 꼽히는 CATL 창업주이자 현 회장인 쩡위친과의 회동을 이어간 머스크는 2년 연속 CATL의 2대 고객사로 자리매김한 테슬라의 중국 시장 개척에 대한 의지를 공고히 했다. 앞서 이달 초 상하이에서 ‘메가팩’으로 불리는 에너지 저장 장치 설립 계획을 공고한 바 있다. 머스크는 메가팩의 에너지 저장 배터리 공급 문제를 쩡 회장의 CATL과의 협력으로 해결할 계획이다. CATL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테슬라에 대량으로 공급하고 향후 미국 공장 설립 등을 머스크와 공동으로 협의해 나가겠다는 방침으로 전해졌다.
테슬라와의 협력 덕에 CATL은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1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테슬라에 판매한 리튬배터리의 매출은 무려 380억 위안(약 7조 642억 원)을 달성했는데, 이는 같은 해 CATL이 거둔 총매출 중 11.59%에 달하는 비중이다.
그 덕분에 쩡 회장은 지난 2021~2022년 1년 사이에 개인 자산의 규모가 무려 23조원이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CATL이 전기차 호황에 힘입어 최대 실적을 올린 것이 쩡 회장의 재산 증가에 영향을 준 셈이다. 이에 대해 세계 최고 부호인 머스크와 함께 눈에 띄는 재산 증가율을 기록 중이라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중국에서 일명 ‘배터리왕’으로 불리는 쩡 회장은 지난해 독일 튀링겐주에 CATL의 첫 번째 해외공장을 가동한 것에 멈추지 않고 북미, 멕시코 등에 추가 공장 설립을 고려 중이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