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이하 현지시간)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지난달 후쿠시마 원전 항만 내에서 잡은 크기 30.5cm, 무게 384g 우럭에서 1만8000베크렐(㏃)의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 이는 일본 식품위생법이 정한 기준치(1kg당 1㏃)의 180배에 달하는 수치다.
우럭이 잡힌 곳은 원전 1~4호기의 바다 쪽 방파제인데, 도쿄전력은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원전 내부의 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면서 기준치의 180배에 달하는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4월에도 같은 장소에서 기준치의 12배에 달하는 12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된 쥐노래미가 잡힌 바 있다.
도쿄전력은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이 함유된 물고기들이 항만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개의 그물을 설치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불안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그물을 설치한다 할지라도 오염 물고기를 모두 막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 해수, 이미 오염됐을 가능성도
도쿄전력의 설명대로 방사성 물질 농도가 높은 물이 원전 밖으로 유출돼 ‘세슘 우럭’ 등이 잡힌 것이라면, 이미 인근 해수가 오염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 정부는 2016년부터 후쿠시마 제1원전 1~4호기를 둘러싼 동토벽을 만들어 오염수의 외부 유출 및 지하수의 추가 유입을 막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도쿄전력은 지난 5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에 토대 손상에 따라 압력용기가 떨어져 격납용기에 구멍이 생겨 방사성 물질이 1호기 밖으로 퍼져도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고했다.
국민의힘 “후쿠시마 항만 ‘180배 세슘 우럭’ 우리 바다에 올 일 없다”
후쿠시마 원전 항만에서 잡은 우럭에서 기준치의 180배에 달하는 세슘이 검출됐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오자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진 가운데,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정주성(이동이 비교적 적고 한곳에 머물러 서식하는 성질) 어류에서 나온 것 같은데 그런(세슘) 것이 흘러서 우리 바다에 올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성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세슘은 분자 수가 많아서 물보다 무거워 가라앉는다”면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해양에 방류되더라도 국내 수산물에는 방사능 오염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현장 시찰단 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위원회 위원장도 “(세슘은) 해저 퇴적물로 가라앉아 후쿠시마 바로 앞 어류에서 종종 기준치 이상이 발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역시 “지난 1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공동 시행한 원전 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을 보면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 처리를 거친 오염수를 일본 측 실시계획상 연간 최대 방류해도 우리 해역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며 “해수부는 근거없는 불안감이 없도록 가까운 바다부터 먼 바다까지 방사능을 꼼꼼하고 촘촘히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준비, 사실상 모두 끝났다
앞서 도쿄전력은 지난 5일 오후 3시 30분부터 오염수 방류를 위해 해저터널 안에 바닷물을 투입하는 작업을 실시했고 6일 오전 5시 작업을 마쳤다.
현재 해저터널에는 6000t 분량의 바닷물이 채워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수 방류를 위한 실질적 작업이 사실상 끝난 것으로 보인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가 이달 중 발표될 계획이지만, IAEA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6차 보고서에서 오염수 방류 계획에 문제가 없다고 한 만큼 최종 보고서 역시 이전 보고서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염수 해양 방류를 위한 물리적 절차와 IAEA를 동원한 국제사회의 명분을 얻는 ‘미션’까지 모두 마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남은 숙제는 주변국과 자국 어민들의 반발 여론을 해소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2015년 당시 ‘관계자의 이해’ 없이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후쿠시마 인근 지역 어민들은 ‘관계자의 이해’를 ‘해양 방류 동의’로 해석하고 있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NHK는 “(오염수 방류 후 이미지가 나빠지는 등) 소문 피해를 우려하는 어업인들이 방류에 반대하고 있어 정부가 이들의 이해를 구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