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는 현지시간으로 7일 우크라이나의 사보타주(의도적 파괴행위) 및 정찰 그룹이 비료 원료로 쓰이는 암모니아의 수송관 중 일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수송관이 파괴된 지역은 최근 친우크라이나 무장세력과 러시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던 러시아 벨고로드 지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해당 수송관은 러시아 서부 톨리야티에서 흑해 연안 항구 도시 유즈네까지 이어지는 2470㎞ 길이의 암모니아 수송 시설이다. 러시아는 해당 수송관을 이용해 암모니아를 유즈네의 항구까지 보낸 뒤, 배로 전 세계에 수출해왔다.
이번에 파괴된 수송관은 그동안 비료 생산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매년 200만t씩 운송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2월 말 러시아의 침공 전쟁 이후 이 수송관 가동을 중단시켰고, 이 때문에 러시아의 비료 원료 수출에 차질이 빚어졌다.
암모니아 수송관 파괴, 세계 식량 위기로 이어지나암모니아 수송관이 파괴되면서 흑해 곡물 협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세계 식량 공급망과도 직결된 만큼, 또 다시 곡물 공급과 가격이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암모니아 수송관 가동을 중단시키자 재가동을 요구해왔다. 암모니아 수송관이 재가동되지 않는다면, 지난 5월 17일에 2개월 연장한 흑해 곡물 협정을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압박한 바 있다.
유엔은 지난달 말 러시아 암모니아 수출 허용 및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확대를 골자로 하는 새로운 합의안을 두 나라에 제안했다. 새 합의안을 두고 논의를 시작하기도 전에 암모니아 수송관이 파괴되면서, 이번 수송관 파괴 주체와 재가동이 협상의 새로운 걸림돌로 떠올랐다.
만약 암모니아 수송관 파괴 논란으로 흑해 곡물 협상 연장이 어려워진다면, 최근 발생한 우크라이나 헤르손주(州) 카호우카 댐 파괴에 따른 곡물 생산 차질과 맞물려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암모니아 수송관 파괴, 환경 파괴로 이어지나암모니아 수송관 파괴가 심각한 환경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료공장은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분해하고, 공기중 질소를 결합해 암모니아를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지구 환경에 유해한 온실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과 만나면 악취를 발생시키고 토양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암모니아 가스는 실온에서 무색이지만, 다른 물질과 반응할 경우 폭발하면서 연기가 발생하는데, 이번에 수송관이 파괴된 지역에서도 암모니아 가스 구름이 포착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주지사는 6일 저녁 “수송관 파괴로 인한 오염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생명과 건강에 위협을 받는 사람은 없다”는 글을 올렸지만, 지난해 개전 이후부터 가동이 중단된 수송관 안에 다량의 암모니아가 갇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송관 파괴로 인한 ‘화학 재해’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암모니아 수송관 파괴, 우크라이나 소행인가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공작원들이 지난 5일 암모니아 수송관 일부를 폭파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 측은 “수송관 폭발로 민간인 일부가 부상했다”며 우크라이나를 맹비난했지만, 정작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주장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헤르손주(州) 카호우카 댐 파괴를 두고 공격 주체로 서로를 지목하며 공방을 벌여왔다. 카호우카 댐 파괴로 인한 홍수로 수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을 것으로 보이며, 암모니아 수송관 파괴와 맞물려 세계 식량 위기가 가중될 우려가 높아졌다.
세계식량계획의 독일 담당 마르틴 프리크 국장은 “댐 붕괴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해 새로 심은 곡물들이 훼손됐다”며 “우크라이나 곡물에 의존하는 세계 3억4500만명의 굶주린 사람들에게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