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 등 현지 언론의 13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 합참 더글러스 심스 작전국장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우크라이나에 집속탄을 인도했다”고 밝혔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 육군 총사령관도 미국 CNN에 “(집속탄을) 막 받았고, 아직 사용하지는 않았다”면서 “전장의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집속탄 지원을 결정한 뒤, 지원 절차는 매우 신속하게 진행됐다. 바이든 행정부가 집속탄 제공을 발표한 날짜는 지난 7일, 불과 2주도 채 걸리지 않은 단시간 안에 인도까지 끝난 셈이다.
미국이 집속탄 지원 서두른 이유미국이 이렇게 속전속결로 집속탄 인도를 마무리 지은 이유는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는 지난달 초 대반격을 시작한 뒤 러시아군에 점령당했던 마을 몇 곳을 탈환하는데 성공했지만, 러시아군이 이미 지난해 말부터 참호와 지뢰 구역 등 방어선을 촘촘하게 쌓은 탓에 대반격은 더디게만 진행됐다.
러시아군은 “시간은 우리 편”이라고 장담했던 것처럼, 우크라이나가 대반격 초기에 전황을 뒤집거나 빠르게 러시아군을 몰아내는데 성공하지 못한다면, 우크라이나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결과는 자명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우크라이나는 155㎜ 포탄 부족 현상까지 겪게 됐지만, 미국은 이를 추가로 생산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판단, 결국 과도기 조치로 집속탄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민간인에게 큰 피해 줄 것” 국제사회 반발 이어져미국의 우크라이나 집속탄 지원이 결정되자마자 국제사회에서는 반발이 쏟아졌다. 러시아는 말할 것도 없이, 동맹국에서도 쓴소리와 경고의 메시지가 나왔다.
BBC는 9일 보도에서 “몇몇 동맹국들이 우크라이나에 집속탄을 공급하기로 한 워싱턴 결정에 대해 곤혹스러움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리시 수낙 영국 총리는 이 문제에 대해 “영국은 집속탄의 생산이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유엔 ‘집속탄에 관한 협약(CCM)’에 서명한 123개국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는 집속탄 사용에 반대하며 CCM 협약을 완전히 준수하고 있으며, 특히 수년 동안 터지지 않은 채 놓여 있는 폭탄이 어린이들에게 미칠 잠재적인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독일도 유사한 입장을 밝혔다. 독일 정부는 “미국의 집속탄 지원을 반대한다”면서도 “우리(독일)는 우크라이나에 그런 무기를 제공하지 않겠지만, (제공을 결정한) 미국의 입장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강철비’로 불리는 집속탄, 왜 위험한가집속탄은 하나의 폭탄 안에 여러 개의 소형 폭탄이 들어있는 무기다. 모(母)폭탄이 상공에서 터진 후에 그 안에 있던 자(子)폭탄, 일명 새끼 폭탄이 쏟아져 나와 여러 개의 목표물을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한다.
문제는 자폭탄 내에 불발탄이 많아 민간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집속탄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자폭탄의 불발률은 40%에 이르기도 했다.
2차 대전 후에 집속탄으로 사망한 민간인은 5만5000~8만 6000명 수준에 이르며, 시리아, 예멘, 레바논 등에서 현재까지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민간인 피해가 크다 보니 일부 국가는 2010년 오슬로 조약을 통해 집속탄 사용을 금지했다. 해당 조약에는 100여 개 국가가 가입했으며, 집속탄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와 보유, 이전도 금지했다.
그러나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는 이 조약에 가입돼 있지 않다. 미국은 오슬로조약 미가입국이라는 이유로 집속탄 지원의 명분을 얻은 것이다.
미국은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신중하게 쓰겠다는 우크라이나의 약속이 있었다”고 밝혔지만, 국제사회의 비난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