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현지시간) 브라질 매체 글로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마조나스주 주립대학 연구팀은 최근 전기톱 소리 등을 분별해 숲에 위협을 가하는 비일상적인 소리를 식별한 뒤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훈련된 장치가 아마존 곳곳에 설치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산림 벌채 소리를 포착하는 전용 인공지능(AI) 개발 보도에 따르면 이 장치는 브라질 민속 신화 속 숲의 수호자라는 명칭의 ‘쿠루피라’라는 이름이 불리며 향후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인 1km 이내 간격으로 아마존 곳곳에 설치될 계획이다. 이렇게 설치된 장치는 향후 숲에 위협이 되는 소리인 산림 벌채 소리를 포착해 무선 주파수를 통해 정보를 무선 공유기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렇게 정보를 전달받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딥러닝을 활용해 다양한 소리를 분석, 소리가 나타내는 상황을 자유자재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프로젝트가 시작된 주요 원인은 최근 아마존 열대우림의 약 38%가 인간의 활동으로 황폐화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계속되는 산림 벌채와 기후 변화에 따른 산불로 탄소 배출량이 급증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단계로 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아마존 화재 위협 대응하는 기능 추가 예정 이 같은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 아마조나스 주립대는 프로젝트 진행 비용으로 약 70만 헤알(약 1억 8000만원) 상당의 민간 투자를 유치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숲에 위협이 될 것으로 여겨지는 비정상적인 소리와 상황을 구분하는 프로그램을 자유자재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 프로젝트가 실행된 이후에는 향후 두 번째 프로젝트 운영을 통해 소리 뿐만 아니라 연기와 진동 등 세부적인 상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까지 추가해 화재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안드레 조가히비 아마조나스 주립대 학장은 “브라질이 향후 환경보호 문제에 어떻게 부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기대감을 표현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