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는 29일(이하 현지시간), 지난해 개전 일부터 지난달 29일까지 552일(약 1년 6개월)동안 전사한 러시아 병사의 수는 26만 184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날 발생한 전사자 530명을 포함한 수치이며, 개전 이후 하루 평균 474명이 전장에서 사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밖에도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가 ▲전차 4414대 ▲장갑차 8579대 ▲포병체계 5450대 ▲다연장로켓체계(MLRS) 733문 ▲방공체계 500개 ▲항공기 315기 ▲헬리콥터 316기 ▲작전·전술 무인항공기 4387기 ▲순항미사일 1419대 ▲선박 18대 ▲차량·연료 탱크 7909개 ▲특수 장비 820개를 손실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대반격 이후 '유의미한' 결과 이어져지난 6월 ‘대반격’을 시작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가장 강력한 방어선을 돌파하면서 빼앗긴 도시를 탈환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28일 한나 말랴르 우크라이나 국방부 차관은 “로보티네를 해방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로보티네는 남부 자포리자주의 도로, 철도의 중심인 토크마크에서 북쪽으로 약 20㎞ 떨어진 지역이다.
지난주 우크라이나군이 로보티네에 국기를 게양하고 남은 적군을 소탕 중이라고 밝혔는데, 약 일주일 만에 탈환에 성공했다는 발표가 나온 셈이다.
로보티네의 ‘해방’은 현재 대반격 중인 우크라이나에게 남다른 성과로 해석된다. 해당 지역을 통해 인접지역인 토크마크와 더불어, 토크마크로부터 50㎞ 가량 떨어진 자포리자주(州) 최대 도시인 멜리토폴 공략까지 가능한 길이 뚫리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로부터 멜리토폴을 되찾는다면, 크림반도 북부에서 돈바스 지역까지 이어지는 러시아 남부 점령지의 회랑을 중간에서 끊어낼 수 있어 승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드론 동원한 러시아 본토 공격 이어져동시에 우크라이나는 지난달부터 러시아 본토에 대한 공격도 이어가고 있다. 드론(무인기)을 이용한 공습에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를 포함한 주요 도시와 군사기지가 피해를 입자 러시아 국방부도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이에 러시아 내부에서는 지난 5월 크렘린궁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공격 시도 이후 잇단 드론 공격으로 인해 모스크바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은 올해 러시아 본토와 자국 러시아 점령지를 겨냥해 120여 차례 드론 공격을 감행했다. 이 중 모스크바와 인근 지역에 대한 드론 공격도 30여 차례나 됐다.
기세를 더해 우크라이나군은 ‘완벽한 성능’을 자랑하는 ‘슈퍼 미사일’을 자체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히면서 러시아의 긴장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완전히 현대적인" 신형 미사일, 러시아판 사드도 뚫었다올렉시 다니로프 우크라이나 국가안보장이사회 의장은 27일(이하 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자국산 넵튠(Neptune)미사일을 성공적으로 배치했다면서 “해당 미사일은 완전히 현대적인 신형 미사일”이라고 소개했다.
다니로프 의장은 해당 미사일의 세부적인 재원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사용하고 있는 넵튠 미사일이 우크라이나의 대반격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23일 넵튠 미사일이 크림반도에 배치된 러시아군의 S-400 대공 미사일 방어시스템의 주요 장비를 파괴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군이 최근 러시아군의 S-400 대공미사일 방어시스템 파괴 시 사용한 넵튠 미사일은 지난해 사용했던 것을 업그레이드한 신형인 ‘R-360 넵튠’으로 추정된다.
최근 신형 넵튠 미사일은 사거리가 이전보다 향상됐고, 지대지 미사일로 개조되면서 러시아군의 S-400 대공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파괴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포브스는 “이번 S-400 격파는 우크라이나가 개량 넵튠을 사용한 첫 사례이며 마지막이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