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그 후 과학자들은 오히려 일부 질병이 기생충 제거 후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독일 통일 후 기생충 감염률이 높았던 동독 지역에서는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이 낮았던 반면 서독 지역에서는 상당히 높게 보고됐다. 그 원인이 모두 기생충 때문은 아니지만, 기생충이 숙주의 면역 반응을 억제해 면역 관련 질병의 유병률을 낮춘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인정되는 분위기다. 심지어 기생충을 질병 치료에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호주 제임스 쿡 대학과 호주 열대 보건 및 의학 연구소(AITHM) 과학자들도 기생충을 의학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다만 특이하게도 당뇨 위험도를 낮추는 것이 목표다. 일반적으로 당뇨는 면역 관련 질병으로 여겨지지 않지만, 사실 만성 염증과 연관된 인슐린 저항성이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의 목표는 구충(hookworms)을 이용해 사람에게 거의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장기적으로 안전한 선에서 과도한 면역 반응과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인슐린이 잘 듣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치료 목적으로 실험실에서 특별히 키운 아메리카 구충(Necator americanus)을 건강한 자원자에게 이식하는 1상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40명의 건강한 자원자들은 위약군, 20마리 이식군, 40마리 이식군으로 나뉘어 실험에 참가했다. 1상 임상의 목표는 소량의 아메리카 구충이 인체에 큰 피해 없이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 기생충은 인체에서 스스로 증식할 순 없으며 위생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남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1년 간의 실험 결과 20마리나 40마리의 아메리카 구충은 숙주에 영양 결핍이나 다른 증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반면 인슐린의 지표인 HOMA-IR 수치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구충 복용군에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구충 20마리 복용 그룹은 HOMA-IR 값이 3에서 1.8로 감소하고 40마리 그룹은 2.4에서 2.0으로 줄어든 반면 대조군은 2.0에서 2.9로 오히려 증가했다.
다만 이번 실험은 기생충이 당뇨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에는 대상자 숫자도 적고 기간도 짧아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 따라서 연구팀은 지원을 받아 좀 더 큰 규모의 국제 2상, 3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담이지만, 후속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더라도 일반적인 기생충을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치료 목적으로 쓰이는 거머리는 안전하게 고인 피만 제거하도록 위생적으로 키운 것이지만, 자연 상태의 거머리는 그렇지 않은 위험한 기생충인 것처럼 자연적으로 감염된 구충은 여전히 위험한 기생충이고 박멸의 대상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