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현지시간) 미 CNN 방송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HUR)의 안드리 유소우 대변인은 전날 우크라이나 국영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이 계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정보를 도청해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는 주로 포탄과 다연장로켓포대를 북한에 요청하고 있다며 “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러시아와 북한의 이런 협력에 적절히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같은 정보기관의 책임자인 키릴로 부다노우 준장도 현지 매체 ‘뉴보이스오브우크라이나’(NV)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한 달 반 전쯤부터 122㎜·152㎜ 포탄과 그라트 다연장로켓포대를 공급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7월27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6·25 전쟁 휴전 70주년을 맞아 방북해 북한에 무기·포탄 공급을 요청한 시기와 맞물린다.
우크라이나의 이같은 주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극동의 아무르주에 있는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정상회담을 한 직후 나왔다.
서방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은 러시아가 필요로하는 포탄 등 재래식 무기를 지원하는 대가로 러시아는 위성과 잠수함 등 첨단 군사기술을 제공하는 빅딜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의 포탄 생산량은 연간 200만 발에 달하지만, 러시아군은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후 한 해에만 포탄 1000만~1100만 발을 소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서방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 무기고의 일부는 노후됐고, 비효율적이라고 말한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7월 29일 “우크라이나군이 남부 자포리자 전선에서 러시아군에 전달되기 전 우방국을 통해 압수한 북한제 122㎜ 포탄을 그라트 다연장로켓포대에 장착해 되레 러시아군을 공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포병대의 지휘관인 루슬란(호출부호)은 당시 FT에 “북한제 포탄은 대부분 1980~1990년대 제조된 것이고, 불발률이 높아 선호하지는 않는다. 많은 경우 잘못 발사되거나 폭발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부대의 한 병사도 “(이 포탄은) 매우 신뢰할 수 없고 때때로 미친 짓을 한다”며 FT 취재진에 발사대 가까이 전급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다만 루슬란 지휘관은 “신뢰성 문제가 있지만 북한제 포탄을 사용하는 데 만족한다. 최대한 많은 탄약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