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가 택한 것은 무인항공기와 무인 함선 같은 무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현재 보유하고 있는 MQ-9 리퍼 무인공격기는 대당 단가가 3200만 달러이며, 센서와 지상 시스템 등을 더할 경우 5,650만 달러로 더 비싸진다. 그도 그럴 것이 미 국방부는 그동안 크고, 정교하며, 비싸지만 적은 숫자의 무인 시스템에 의존해왔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최근 미 국방부에서 혁신적인 구상을 발표했다. 현지 시각 8월 28일, 미 국방부의 캐슬린 힉스 차관보는 미국 방위산업협회의 신흥 기술 컨퍼런스에서 중국과 경쟁을 위해 2년 안에 여러 영역에 걸쳐 수천 대의 저렴한 소모성 무인 시스템을 배치한다는 ‘리플리케이터’ 구상을 발표했다. 리플리케이터 구상에 포함되는 것에는 무인항공기와 무인함정 외에도 무인지상차량과 인공위성까지 포함된다.
힉스 차관보는 리플리케이터 구상을 위해 새로운 자금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며, 각 군에서 기존에 진행하는 프로그램들을 합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미 해군은 무인 테스크포스(UTF)를 대체할 파괴적 역량 사무소(DCO)를 출범시키고 리플리케이터 구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미 공군도 유인전투기와 함께 작전할 협업전투항공기(CCA)와 유인전투기 등에서 발진하는 롱샷(Longshot) 무인전투기 등의 여러 프로그램을 리플리케이터 구상에 통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힉스 차관보는 구상을 위해 새로운 자금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라 했지만, 국방부가 관료주의에 빠지지 않고 2년이라는 시한 안에 목표한 수량의 무인 시스템을 인도받을 수 있을지 우려하기도 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산업계가 국방부가 요구하는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다. 9월 말, 빌 라플란테 국방부 획득 및 유지 담당 차관은 새로운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가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라플란테 차관은 대만 인도가 지연되고 있는 F-16 전투기를 예로 들었고, 제조업이 핵심 관심사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 방위산업계는 미 국방부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생산라인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다년간 계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라플란테 차관은 다년간 계약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업계의 정부에 대한 불신도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힉스 차관보가 밝힌 리플리케이터 구상이 성공할 수 있을지, 영국 등 다른 동맹국들과 미국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