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비선재는 다음달 15일까지 서울 용산구 유엔빌리지3길 갤러리 비선재에서 ‘일본(Japan) 공모작가 10인 초대전(展)’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갤러리 비선재가 지난 8월부터 한 달간 일본 현지에서 공모를 통해 선발한 신진 작가인 노리 오카와(Nori Okawa), 아리사 카와베(Arisa Kawabe), 아사히 아라타(Asahi Arata), 마호 타카하시(Maho Takahashi), 켄 야시키(Ken Yashiki) 등 10명의 작품이 출품됐다.
이번 전시에 초대된 작가들은 일본의 국공립 미술관, 갤러리, 옥션 관계자가 심의를 거쳐 선발된 신진 작가들로 현재 일본 현대 미술를 이끌어가고 있다.
1980년대 태어난 일본 신진작가 10명 초대 이번에 참가한 10명의 작가는 일본이 고도성장을 구가하던 1980년대에 태어나 내리막길을 걷던 시절 유년기를 보낸 세대들이다.
갤러리 비선재에 따르면 일본 현대미술의 기저는 물질의 존재·인식에 주목하는 모노하(もの派)와 전위예술집단인 구타이(具体)를 거쳐서 슈퍼플랫(Superflat)이라는 일본 팝아트 운동을 거치는 사이 21세기 상반기에 ‘센세이셔널리즘’, ‘팝의 재해석’, ‘스펙터클’, ‘시적감수성’ 등 4가지로 분화하고 있다.
일본 현대미술에서의 거시 담론은 서구의 수용과 일본성의 문제, 사회 정의 실현 등이었는데, 이로 나타난 사조가 모노하, 구타이, 수퍼플랫 등의 미술운동이었다. 이제 거시 담론은 종식을 고했으며, 개인의 정서와 스타일의 개성화에 모든 에너지가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센세이셔널리즘과 팝 아트의 재해석 ‘센세이셔널리즘’(sensationalism)은 정물이나 풍경과 같은 대상에 독특한 정서와 감정을 기입하는 스타일이다. 일본 사회의 고독이나 삶의 부유성 등 에피메럴리티(ephimerality), 즉 영구적으로 감내할 수 없는 삶과 생명의 덧없음을 나타내는 스타일이 많다.
또 ‘팝의 재해석’이다. 일본 팝아트의 역사는 오래되어 1970년대까지 소급된다. 대중매체가 있는 한 팝아트의 재해석은지속할 것이기 때문에 50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속하고 있다.
‘스펙터클’은 광대한 경관을 설치나 영상으로 나타내 보이면서 시공간의 문제를 해석한다. 아울러 시적 감수성을 통해 사람 사이의 연약한 관계성(fragility)을 그리는가 하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낭만적 거짓(romantic lie)을 다루기도 한다.
“일본의 현대 미술을 전망하는 계기가 될 것”지난 15일 열린 개막식에는 전시 출품 작가를 비롯해 갤러리 비선재의 장낙순 회장, 문창희 이사, 권영태 대표이사, 홍익대 미술대학 최명영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또 일본 유명 컬렉터들이 자국의 신진작가들의 한국 반응을 살펴보고, 한국 미술 현장의 생생한 역동성을 체험하기 위해 내한했다.
장낙순 회장은 축사를 통해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일본의 현대미술 교류의 새로운 국면을 여는 의미가 있다”면서 “일본을 이끌어나갈 신진 작가의 작품을 통해 일본 현대미술의 오늘과 내일을 전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