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은 현생 동물군 가운데 새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과학자들은 소형 수각류 공룡 중 일부가 새로 진화해 백악기 말 대멸종에서 살아남았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백악기 말에 새를 제외한 공룡이라는 뜻의 비조류 공룡이 멸종했다고 이야기하는 게 일반적 추세다. 그리고 공룡 복원도에서도 화려한 깃털을 지닌 복원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일부 소형 공룡들은 현재의 날지 못하는 새와 생태적 지위가 비슷하거나 생활 방식이 비슷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화석으로 당시 동물의 행동까지 복원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부분이 베일에 가려져 있다.
일본 홋카이도 대학,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그리고 몽골의 현지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고생물학자 팀은 몽골 고비 사막의 네그마트 지역에 있는 7100만 년 전 백악기 지층에서 조류와 연관이 깊은 소형 수각류 공룡인 마니랍토란(Maniraptorans)과에 속하는 신종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빠르고 작은 용이라는 의미인 야쿨리니쿠스 야루이(Jaculinykus yaruui)라는 학명을 지닌 신종 공룡은 몸무게 30kg의 소형 수각류 공룡으로 몸이 깃털로 덮여 있어 외형은 날지 못하는 대형 조류와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연구팀의 눈길을 끈 것은 무엇보다 화석의 독특한 자세였다.
야쿨리누쿠스의 화석은 새의 날개에 해당하는 앞다리를 몸통에 붙이고 머리를 한쪽으로 말아 웅크린 형태인데, 이는 현재의 새가 자는 모습과 비슷하다. (복원도 참조)
이런 형태가 나오는 이유는 열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다. 새는 체온이 포유류보다 더 높기 때문에 열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최대한 몸을 웅크린 자세로 자는 경우가 많다.
화석이 되는 과정에서 우연히 이런 자세로 접히기는 어렵기 때문에 연구팀은 야쿨리누쿠스가 자는 도중 갑자기 매몰되어 화석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마니랍토란 같은 소형 공룡이 새처럼 체온이 높았고 여러 가지 생태학적 측면이나 행동 역시 날지 못하는 큰 새와 비슷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다.
공룡은 완전히 멸종한 것이 아니라 새의 형태로 지금도 남아 있다. 따라서 사라진 비조류 공룡을 연구할 때 새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연구 역시 살아 있는 공룡인 새가 멸종한 공룡 연구에 영감을 준 사례 중 하나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