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브래들리 vs BMP…미-러 장갑차, 우크라 전장서 맞붙어

작성 2023.12.20 16:50 ㅣ 수정 2023.12.21 09:09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브래들리 vs BMP…미-러 장갑차, 우크라 전장서 맞붙어 / 사진=우크라이나 47여단 텔레그램
우크라이나의 브래들리 장갑차가 러시아의 BMP 장갑차와 보기 드물게 근접전을 벌인 사실이 공개됐다.

20일(현지시간) 미 과학기술지 ‘파퓰러 메카닉스’에 따르면,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의 정찰 드론이 자국군 소속 M2A2 ODS 브래들리 장갑차가 러시아군의 BMP 계열 장갑차와 근접 전투를 벌이는 순간을 카메라에 담았다.

당시 교전은 지난 10월부터 러시아 공세를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스테포베 외곽의 철도 분기점 근처에 발생했다.

전투는 천연 방어 위치이자 적군 시야에 장벽 역할을 하는 숲의 경계선 부근에서 발생했으나, 우크라이나 드론의 감시망을 피할 수 없었다.

확대보기
드론에 찍힌 브래들리 장갑차는 우크라이나 제47기계화 여단에서 운용하는 차량 중 하나다. 이 여단은 지난 6월 초 우크라이나 반격을 주도하는 전투에 처음 투입됐다.

반면 러시아의 BMP 장갑차는 30㎜ 기관포로 무장한 BMP-2이거나, 100㎜ 저압포를 추가하고 장갑을 보강한 BMP-3일 가능성이 있다.

당시 BMP 장갑차는 숲 가장자리에 엄폐했고, 브래들리 장갑차는 비교적 나무가 울창하지 못한 반대편에서 천천히 나아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승무원들은 BMP 장갑차의 존재를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 브래들리 장갑차는 우수한 열 조준경을 갖고 있는 데다가 정찰 드론이 BMP 장갑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영상은 시작된지 약 14초 만에 브래들리 장갑차의 M242 부시마스터 25㎜ 기관포가 M792 고폭 파쇄형 포탄을 발사하기 시작한다. 이 중 여러 발이 중간 지점의 나무와 지면에 부딪혀 폭발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그밖의 탄들은 BMP 장갑에 막혀 번쩍거릴 뿐이다.

만일 브래들리 장갑차가 적군 차량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는 M791 포탄을 발사했다면 교전은 신속하게 끝날 수도 있었다.

확대보기
이같은 이유 때문인지 무려 15초 동안 공격받던 BMP 장갑차는 공격 범위에서 벗어나려는지 숲 밖으로 질주한다. 그 사이 27초쯤 러시아군의 회피 지원으로 박격 포탄 한 발이 브래들리 장갑차 바로 앞쪽에 쌓여 있던 눈밭에 떨어져 폭발을 일으킨다.

그러나 BMP 장갑차의 회피 기동은 이 차량의 더 얇은 측·후면 장갑을 노출시켰고 우크라이나 측 자주포에서 발사한 155㎜ 집속탄(DPICM·이중 목적 개량 고폭탄)의 폭발 반경에 들어가는 실수를 저질렀다. M483A1이나 M864로 추정되는 이 집속탄에서 72발이나 86발의 작은 철갑탄이 퍼져나갔다. 이는 최대 70㎜의 장갑까지 관통하는 성형폭약이 들어 있다.

드론 영상의 마지막 몇 초 동안, 이 집속탄과 브래들리 장갑차의 25㎜ 포탄 공격이 합쳐져 BMP 장갑차에서 폭발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면이 바뀌면서 BMP 장갑차가 탈출에 성공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후 이어진 장면에서는 브래들리 장갑차의 승무원들이 여러 차례 피격당한 BMP 장갑차를 찾아낸 모습이 담겨 있다. 만일 러시아 승무원들이 탈출에 성공했다면 후면의 램프(경사면) 부분이 열려 있어야 하는 데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모두 전사했을 가능성이 크다.

47여단의 공식 텔레그램 채널은 당시 전투에 대해 “미국산 장갑차(브래들리)들은 아우디이우카 전선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러시아군을 파괴할 기회가 더 많다”고 설명했다.

확대보기
이 여단의 영상에는 1인칭 시점(FPV) 자폭 드론이 BMP 장갑차를 공격하는 장면도 담겼다. 이 장갑차는 브래들리 장갑차와 교전을 벌인 차량과 같을 수 있다.

아우디이우카 지역의 또 다른 영상은 브래들리 장갑차가 러시아군의 MT-LB 장갑차 3대로 이뤄진 1개 소대의 측면을 매복 공격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MT-LB 장갑차들은 BMP보다 훨씬 가벼운 장갑을 갖추고 있고 브래들리에 피해를 입힐 무기도 없다. 1분도 안 돼 3대의 MT-LB는 모두 불에 타는 잔해로 전락한다.


브래들리는 BMP보다 튼튼한 장갑을 갖췄지만 적 차량의 무기, 특히 대전차 유도 미사일과 같은 무기에는 거의 무방비 상태다. 이 때문인지 러시아는 지난 6일 스테포베 근처에서 버려진 브래들리 장갑차 한 대를 회수하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네덜란드 군사정보 사이트 오릭스는 이달 중순까지 우크라이나가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브래들리 장갑차 190대(M7 BFIST 포병관측장갑차 4대 포함) 중 29대가 파괴됐고, 다른 31대는 손상돼 수리했거나 수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집계했다.

반면 거의 2년에 걸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에서 러시아 BMP 장갑차의 소실(파괴, 유기, 노획) 물량은 2100대 이상이다.

┃브래들리 vs BMP

확대보기
▲ 토우(TOW) 대전차 유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브래들리 장갑차의 모습. / 미 국방부,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브래들리 장갑차는 병력수송 능력과 대포 및 대전차 미사일 무장을 결합한 소련제 BMP 장갑차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개발됐다.

미 육군의 기계화 보병 및 기갑 부대는 BMP와 정면 대결을 벌일 장갑차를 원했다. 50구경(12.7㎜) M2 브라우닝 기관총 1정으로 무장한 M113 장갑차로는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확대보기
▲ BMP-3 장갑차의 모습. / 사진=보반, CC BY 3.0, via Wikimedia Commons
결정적으로 브래들리 장갑차의 중량은 25~30t으로 BMP 장갑차(13~19t)보다 무겁다. 그 차이는 대부분 장갑과 관련이 있다. 브래들리 장갑차의 전면 장갑은 BMP-2의 30㎜ 기관포의 장갑 관통탄에 대응할 수 있지만, BMP 장갑차는 브래들리 장갑차의 25㎜ 기관포에 뚫릴 수 있다. 물론 브래들리 장갑차의 측·후면 장갑은 비교적 얇아 BMP-2 장갑차의 기관포로 파괴될 수 있다.

브래들리와 BMP 장갑차는 또 서로를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대전차 유도 미사일로 무장한다. 그러나 이 미사일을 사용하려면 목표물에 명중시킬 수 있게 유도해주는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 데 표적이 가까이 있을 때는 명중 가능성이 더 떨어진다. 스테포베 전투의 경우 두 장갑차의 최소 무장거리(브래들리 토우: 65m, BMP-2 콘쿠르스:70m)에 가까웠일 수 있고, 중간에 있는 브러시가 미사일의 유도 케이블에 걸려들었을 수도 있다.

브래들리 장갑차는 BMP 차량보다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스테포베에서 기록된 승리의 결정적 요인은 이 차량의 승무원들이 적 차량을 먼저 발견하고 타격했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선공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 승리를 예측하는 데 중대한 부분이다.

브래들리 장갑차의 최초 공격은 우크라이나군 승무원들의 기술과 훈련, 드론의 정찰, 열 조준경 등에 얻은 정보의 이점이나 이 세 가지 요인 모두의 조합으로 이뤄졌을 수 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이상한 성관계’ 강요한 남편…“부부 강간 아니다” 법원 판
  • 1살 아기 성폭행한 현직 경찰, ‘비겁한 변명’ 들어보니
  • 마라톤 대회서 상의 탈의하고 달린 女선수에 ‘극찬’ 쏟아진
  • 女 400명 성폭행하는 정치인 영상 ‘발칵’…“2900여개
  • 아내와 사별 후 장모와 결혼식 올린 인도 남성…“장인도 허락
  • 14세 소녀 강간·임신시킨 남성에 ‘물리적 거세’ 선고…“가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내가 남자라고?”…결혼 직전 ‘고환’ 발견한 20대 여성
  • “용의자 중 11살짜리도”…소년 12명, 14세 여학생 집단
  • 온몸에 철갑 두른 러 ‘거북전차’ 알고보니 전략 무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