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이하 현지시간) 유리 김 미국 국무부 유럽·유라시아 담당 수석 부차관보는 한미연구소(ICAS)가 주최한 온라인 심포지엄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탄약이나 다른 군사적‧물자적 지원을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김 부차관보는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정치적 지지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방어지원(defense support)을 제공했으며, 우리는 그런 물자가 우크라이나로 더 많이 가는 것을 보고 싶다”고 답했다.
이어 “한국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50여 국가의 연합인 ‘우크라이나 방위 연락 그룹’(UDCG) 중 하나”라면서 “미국은 모든 연합국이 (방공)체계든 요격 미사일이든, (우크라이나의) 대공 방어가 가능한 모든 것을 제공하길 촉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금 (우크라이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155㎜포탄”이라면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하루에 군인 1명당 탄약 15~20발 정도만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차관보는 미국이 한국에 구체적인 무기 지원을 요청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모든 연합국에 대공방어(air defense)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런 요청을 매우 폭넓게 했다”면서 “50여개 연합국 모두 방공무기가 정말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답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비살상무기만 지원한다는 원칙에 따라 지뢰제거 장비, 긴급 후송차량, 전투식량, 방탄복, 방독면, 의무장비 등의 군수물자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2023년 기준) 한국이 유럽 국가들보다 더 많은 탄약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했다”는 보도를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워싱턴포스트는 “바이든 행정부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지못해 장갑차와 주력 전차를 보내기로 약속했지만, 더 큰 문제는 155㎜ 포탄 공굽이었다”면서 “미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가 한 달에 9만 발 이상의 탄약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있었지만, 당시 미국이 공급할 수 있는 양은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교전 지역에 대한 무기 지원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미국은 한국 정부를 설득했다”면서 “행정부 고위 관리들이 한국과 대화를 나눴고, 연초부터 한국에서 포탄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모든 유럽 국가의 공급량을 합산한 것보다 더 많은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나라가 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에서 탄약이 얼마나 이송됐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우크라이나로 지원됐는지 등의 자세한 정보는 언급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에 한국이 지원한 탄약이 직접 투입됐는지, 미국의 재고를 한국의 탄약이 채운 것인지 등도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
“북한 무기,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실제 사용 중”김 부차관보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했느냐는 질문에는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에서 실제로 전투에 참여했는지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 모두 북한의 무기 체계와 미사일이 전장으로 보내져 실제 사용되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중국이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 확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이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확대를) 썩 좋아하는 것 같지는 않다”면서 “자신(중국)들이 어느 정도 통제하고 미국을 상대로 조종할 수 있는 문제(북한)를 안고 있는 것과 그 역할을 경쟁 세력(러시아)에게 갑자기 빼앗기는 것은 다르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북한 노동자들이 러시아 군수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게 사실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공유할 내용이 없다”고 답했다.
송현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