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이 발굴된 이 장소는 현지언어로 ‘물가의 언덕’이라 불리는 곳으로 신석기 시대의 인류가 살았던 정착지다. 특히 여성이 매장된 시기는 ‘토기없는 신석기 시대’(PPNA)로 당시는 농업이 발달하기 직전의 인류 사회의 전환기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여성은 25~30세 사이에 자연사해, 진흙 벽돌 건물 바닥 아래에 묻혔으며 다른 14명은 인근 다른 건물 아래에 매장됐다. 흥미로운 점은 이 여성의 무덤이 길고 평평한 석회암 덩어리를 덮여있었다는 점으로, 이는 당시의 매장방식에서는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여기에 무덤을 발굴한 결과 더욱 놀라운 사실이 드러났다. 오로크스(aurochs)로 불리는 멸종된 원시 황소의 두개골이 여성의 몸 위에, 턱과 나머지 부분은 그의 발밑에 놓여있었다. 또한 작은 반추동물, 새, 갯과 동물, 담비 다리, 양과 염소 등 여러 동물의 뼈가 매장 구덩이 전체에서 발견됐다.
이에대해 논문의 주저자인 에르굴 코다스 교수는 “다른 동시대 시신과는 달리 그녀는 다양한 동물과 함께 묻힌 채 발견됐다”면서 “당시는 동물의 길들이기가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야생이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이같은 특이한 매장 방식은 다른 구성원들과는 다르게 대우받았고, 아마도 특별한 지위를 가졌음을 보여준다”면서 “아마도 이 여성이 야생동물과 영적인 관계를 맺는 샤먼이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연구팀은 특이하게 무덤을 석회암으로 덮은 것을 보고, 이는 죽은 그녀가 무덤을 떠나지 못하게 한 것으로 추정했다. 곧 샤먼이 나쁜 영혼으로 돌아올까봐 당시 인류가 두려워했다는 것이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