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륙 위에 펼쳐진 구름 사이로 마치 동굴처럼 뻥 뚫린 구멍의 정체는 무엇일까? 미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24일(현지시간) 캔자스 주 위치타 상공 위에서 촬영한 흥미로운 구름 모습을 담은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2일 NASA의 지구관측위성인 랜드샛9(Landsat8)에 장착된 OLI-2(Operational Land Imager-2)로 촬영한 이 사진의 주인공은 구름이다. 해당 사진에는 구름이 마치 눈처럼 땅 위를 덮고있는 것처럼 담겨있는데, 그 가운데 두 개의 큰 구멍이 선명하게 확인된다. 마치 지상의 분화구처럼 보이는 이 두 구멍은 놀랍게도 바로 구름이다.
구름은 높이와 계절, 기상 상태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띄는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뭉게구름(적운), 양떼구름(고적운) 등을 비롯해 그 종류가 다양하다. 세계기상기구에서 발간하는 국제구름도감(International Cloud Atlas)은 세계의 구름 이름을 150종으로 분류했는데, 2017년 여기에 12종의 새로운 구름을 추가했다. 이번에 위성이 촬영한 이 구름이 바로 새로 추가된 ‘카붐’(cavum)이다. 카붐은 구름 가운데 커다란 구멍이 있는 구름으로, 땅에서 보면 동그랗게 구멍이 뚫린 형태로 보여 종종 UFO로 오인받기도 한다.
흥미로운 점은 구름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발생하지만 카붐의 경우 인간의 기술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가 구름층을 통과할 때 날개 위에 추가적인 냉각이 발생해 액체 방울을 얼릴 수 있다. 이 얼음 결정은 더 많은 얼음 결정을 낳고 결국 무너져 내리면서 구름에 공극을 남긴다. 이 때문에 카붐은 공항 인근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겨울철에는 10~15% 정도의 대기 조건이 카붐 형성에 적합하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