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초기부터 사용해 온 이란제 샤헤드-136 드론에 장착하는 복합 탄두를 개발하고 이미 이를 전장에 투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크라이나 군사 전문 매체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익명의 러시아군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샤헤드-136 자폭 드론에 새로운 형태의 90㎏급 복합 탄두를 장착했다”고 보도했다.
샤헤드-136 자폭 드론용 탄두는 ‘KOFZBCh’로 명명됐다. 이는 러시아어로 ‘누적(성형작약)-파편-고폭-소이’의 약자이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악마의 무기’로 불리는 소이탄이 결합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러시아군은 샤헤드-136에 ‘KOFZBCh’와 유사한 폭발성 화합물을 사용했었으나, 새로운 탄두는 금속 수소화물 분말 혼합물을 첨가한 소이탄을 추가하면서 연소 시 온도가 3500도까지 오를 수 있다고 알려졌다.
또 본래 이란제 샤헤드-136에는 50㎏급 자폭 탄두가 탑재됐으나, 개량형 탄두의 무게는 90㎏으로 증가했다.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러시아군이 자국서 생산하는 샤헤드-136에 90㎏짜리 새로운 탄두를 장착했으며, 이는 이전 50㎏ 탄약보다 훨씬 강력한 파괴력을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러시아는 샤헤드-136 드론의 파괴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체 탄두 개발 및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또 이란과의 협력을 이어가며 이란제 신형 90㎏ 탄두도 병행 사용 중”이라고 덧붙였다.
갈수록 진화하는 샤헤드-136 자폭 드론러시아군이 개전 초기부터 활용해 온 샤헤드-136은 이란이 개발한 장거리 자폭 드론으로, 정밀도가 높아 군사 시설과 탄약고, 발전소 등 전략적 표적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러시아는 이란에서 도입한 샤헤드-136을 ‘게란-2’라는 이름으로 국산화하며 연간 6000대 이상의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또 샤헤드-136의 비행거리를 1000㎞ 이내로 단축한 개량형을 개발해, 단가를 낮추고 대량 투입에 적합하게 만들었다. 반대로 연료 탑재량을 늘려 1500~2000㎞를 비행할 수 있도록 개량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샤헤드-136의 활용도가 높아지자, 전자전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를 추가로 장착하기도 했다. 전자전 공격(재밍)에 강한 신형 안테나를 장착한 샤헤드-136이 등장한 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전자전 방해를 뚫고 목표물 명중률을 높일 수 있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