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이승엽(33·요미우리 자이언츠)은 한국 프로야구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인 56방을 때리고 메이저리그 진출을 타진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입성은 불발됐다. 초라한 대우가 이유였다.
당시 그는 “안 좋은 선례를 남길 수 없다”고 말했다. 국내 프로야구에서 바로 나가는 첫 선수로서 최저 수준 연봉에 사인한다면 훗날 후배들에게 악영향이 일 거란 우려의 결정이었던 셈이다. 그렇게 이승엽은 몇 발짝 물러섰다.
일본 프로야구는 1964년의 무라카미 마사노리가 1호 빅리거다. 실질 진출 촉발은 투수 노모 히데오(1995년) 타자 스즈키 이치로(2001년)부터다. 양 거물의 대성공으로 이후 일본 A급 선수들은 귀빈 대접을 받고 태평양을 건넜다.
이승엽의 논리대로 노모와 이치로는 터를 잘 닦은 경우다. 그러나 그 둘은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득 효과는 몰라도 결심의 선도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노모는 일본 최고 투수였다. 이치로는 최고 타자였다. 또 노모는 희한한 꽈배기 투구 자세. 토네이도 폼으로 던졌다. 이치로는 19세기 발 야구를 복원했다. 요컨대 두 선수는 특출난 재능에 특이한 스타일이 결합된 특수 케이스였다.
그래서 일본 전문가들은 메이저리그 진출 붐의 계기를 다른 이들로 본다. 주인공은 투수 하세가와 시게토시(1997년) 타자 신조 쓰요시(2001년)다. 이 둘은 일본에서의 활약상 자체가 A급에 미달됐다. 희망을 심어 줄 가능성이 컸다.
하세가와는 미국 데뷔 구단 LA 에인절스(당시 애너하임)와 계약 전 1996년 시즌 방어율이 5점대였다. (5.34) 구속은 130 km/h대까지 하락했다. 신조는 2000년을 최고 해로 보냈지만 일본 프로야구 통산 타율이 0.249에 지나지 않았다.
노모와 이치로는 원래 잘 했다. 그리고 원래 특별했다. 반면 하세가와와 신조는 그 정도 선수들이 일본에도 많았다. 즉 ‘나 역시 도전하면 저만큼은?’이란 생각과 의문. 결심의 주체였던 대상은 노모·이치로가 아닌 하세가와·신조였다.
최향남 또한 유사 선상에 있다. 그도 같은 말을 했기 때문이다. 최향남은 “선수들끼리 메이저리그 이야기를 안 한다. 할 수가 없다. 비교 대상이 전무해서다. 과연 통할까? 감조차 안 선다. 내가 성공한다면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이승엽이 2003년 시즌 직후 진출해 제 몫을 했다면 사람들은 ‘한국이 낳은 최고 타자 이승엽은 뭔가 다르다’란 인식이 주였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최향남은 다르다. 메이저리그 진입 장벽 개방의 선도자는 그가 더 적합할 수 있다.
기사제휴/스포츠서울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