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르는 21일 새벽(이하 한국시간) 이탈리아 쥐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바르사와의 ‘2009/2010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4강 1차전에서 1골 2도움을 기록한 디에고 밀리토의 맹활약에 힘입어 3-1 승리를 거뒀다.
홈에서 두 골 차로 승리한 인테르는 오는 29일 누 캄푸에서 열리는 2차전에서 비기기만 해도(혹은 0-1, 1-2로 패해도) 결승에 진출하는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이날 경기는 과연, 무리뉴 감독이 ‘메시아’ 리오넬 메시를 어떻게 막아낼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졌다. 아스날과의 8강전 2차전에서 혼자서 네 골을 터트린 메시의 위력은 실로 대단했고 그것을 막는 것이 인테르의 가장 큰 숙제였기 때문이다.
무리뉴 감독은 경기 전 인터뷰에서 “우리는 대인 방어를 하지 않을 것이다. 그저 11명과 11명간의 싸움을 원한다.”며 메시에 대한 맨투맨 방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고, 무리뉴의 발언대로 인테르는 유기적인 압박을 통해 메시가 아닌 바르사 전체를 상대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두 명의 수비형 미드필더인 에스테반 캄비아소와 티아고 모타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메시의 드리블을 사전에 차단했고 측면에 위치한 하비에르 자네티와 최종 센터백 라인도 협력 수비를 통해 메시의 돌파를 저지하는데 성공했다.
물론 인테르의 대처가 훌륭하기도 했지만, 이날 메시의 부진은 바르사의 내부적인 원인이 더 컸다고 볼 수 있다. 펩 과르디올라 감독은 인테르의 탄탄한 센터백 라인(월터 사무엘과 루시우)을 무너트리기 위해 장신의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를 선발 출격시켰다.
그러나 문제는 이브라히모비치의 존재가 메시의 활동 범위를 제한시켰고, 동시에 바르사의 장점을 살리지 못했다는 점이다.
최근 메시가 아스날,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최고의 활약을 펼친 포지션은 전방 공격수였다. 그곳에서 메시는 좌우, 상하로 폭넓게 움직이며 공간을 확보했고 샤비와의 환상적인 호흡을 통해 상대 수비진을 무력화시켰다.
그러나 인테르전에서는 이브라히모비치가 전방에 위치하며 그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좁아졌고, 동시에 인테르의 강한 압박이 더해지며 이렇다 할 활약을 선보이지 못했다.
이브라히모비치의 존재는 메시 뿐 아니라 바르사의 공격 스타일에도 제약을 가했다. 이날 바르사는 평소보다 롱 패스의 횟수가 더 많았는데, 이는 이브라히모비치의 높이와 힘을 이용해 인테르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사무엘과 루시우의 밀착 수비로 인해 롱 패스에 의한 공격 전개는 대부분 실패했고, 그로인해 바르사의 최대 장점인 숏 패스 게임 또한 이뤄지지 못했다. (이는 메시와 샤비의 호흡이 침묵한 이유이기도 하다)
후반 중반 과르디올라 감독이 이브라히모비치를 빼고 에릭 아비달을 투입한 것도 이 때문이다.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격수와 수비수를 교체하는 일은 흔치 않은 일이다.
그러나 과르디올라는 아비달을 좌측 풀백에 투입하며 막스웰을 측면 윙어로 전진시켰고, 이브라히모비치의 자리에 메시를 이동시켰다. 하지만 조금은 뒤늦은 교체가 됐고, 인테르가 기선을 제압한 상태에서 바르사의 변화는 별 다른 효과를 불러오지 못했다.
장시간의 이동과 전술적 선택의 실패 그리고 인테르의 적절한 대처가 이뤄지며 메시는 날아오르지 못했다. 과연, 누 캄푸에서 치러질 2차전에서도 메시의 침묵은 이어질까. 아니면 보란 듯이 골 폭풍을 몰아치며 바르사를 2년 연속 결승으로 이끌까. 바르사와 인테르의 2차 대전에 축구 팬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유럽축구통신원 안경남 pitchaction.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