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35. 오릭스)이 20일 오사카 쿄세라돔에서 열린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경기에서 시즌 13호 홈런을 터뜨리며 물 오른 타격감을 과시했다. 3타수 2안타(1타점,1득점) 그리고 18일 경기에 이어 2경기 연속 홈런이다.
이승엽은 2회말 상대 투수 데니스 홀튼으로부터 볼카운트 2-2에서 한가운데 높은 포심 패스트볼
(138km)을 그대로 잡아당겨 우월 솔로 아치를 그렸다. 이로써 이승엽은 9월에만 5개의 홈런을 몰아치며 시즌 막판 팀 상승세에 기폭제가 되고 있다. 최근 5경기 연속 안타 및 타점 행진 기록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최근 이승엽의 타격 상승세는 이전과는 달라진 타격성향에 그 원인이 있다.
그동안 몸쪽 공에 약점을 보이며 의식으로 잡아 당기려는 스윙에서 이제는 밀어치는 타격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이승엽의 특기가 밀어치기다. 강력한 손목 힘을 바탕으로 바깥쪽 공을 결대로 밀어쳐 장타를 생산하던 모습이 다시 살아난 것이다.
18일 지바 롯데전에서 와타나베 순스케를 상대로 쳐낸 홈런(12호)은 평상시처럼 잡아당긴 타구였다면 홈런이 되지 않았을 타구다. 올 시즌 낮은 타율을 기록하고 있었던 것도 바깥쪽 공을 무리하게 잡아 당기려는 습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름이 없었다. 하지만 9월에 접어 들며 이러한 모습들이 사라졌다.
특히 최근 이승엽의 활약은 무엇보다 소속팀인 오릭스에겐 큰 기쁨이다.
오릭스는 시즌 중반까지만 해도 리그 꼴찌에 머물며 만년 약체라는 오명이 다시 재현되는 가 싶었지만 어느새 리그 3위까지 뛰어 올랐다. 9월에만 12승(1무 4패)을 올린 오릭스는 현재 4위 세이부와 3.5경기차이를 유지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을 위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상태다.
이승엽의 타격 상승세가 팀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승엽이 터뜨린 13호 홈런도 팀 승리와 직결되는 한방이었다.
이날 경기는 9회말 1사 만루에서 터진 아롬 발디리스의 끝내기 안타로 오릭스가 2-1로 승리를 거뒀는데 이승엽의 선제 솔로 홈런이 없었다면 연장까지 갈뻔한 그런 경기였다.
현재 13호 홈런을 기록중인 이승엽은 당초 기대치에 비해 홈런수가 적긴 하지만 속사정을 보면 결코 폄하될 성적이 아니다. 올해 일본야구가 극심한 ‘투고타저’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홈런타자라 불리는 선수들의 장타력 급감을 감안하면 오히려 칭찬을 해줘야 할 성적이다.
지금까지 퍼시픽리그에서 이승엽보다 홈런을 더 많이 기록한 선수는 5명에 불과하다.
나카무라 타케야(세이부. 41홈런), 마츠다 노부히로(소프트뱅크. 23홈런), 나카지마 히로유키(세이부. 16홈런), 아롬 발디리스(오릭스. 16홈런), 나카타 쇼(니혼햄. 14홈런) 뿐이다.
이승엽은 팀 동료인 T-오카다와 호세 페르난데스(세이부)와 함께 13홈런으로 이 부문 공동 6위에 올라와 있다.
비록 타율은 .214(332타수 71안타)로 저조 하지만 리그내에 3할 타자가 단 4명 뿐이라는 사실로 비춰볼 때 특별히 모난 성적도 아니다.
오릭스는 최근 10년동안 리그 꼴찌를 무려 5번이나 기록한 팀이다.
근례에 가장 좋은 성적은 2008년 기록한 2위. 하지만 이후 두번의 감독교체와 더불어 2009년 오이시 다이지로 감독이 꼴찌의 성적으로 사임했고, 지난해 지금의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이 새로 부임했지만 역시 리그 5위에 머물렀다.
이제 올해 정규시즌도 21경기 밖에 남지 않은 지금의 오릭스는 3위 수성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꼴찌가 거의 확실시 되고 있는 지바 롯데를 제외하면 오릭스를 추격하고 있는 세이부(3.5경기차)와 라쿠텐(4.5경기차)의 거센 도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승엽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팀을 구해내는 홈런포를 쳐내고 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이승엽이 지금과 같은 타격 컨디션만 끝까지 유지한다면 오릭스의 포스트시즌 진출 역시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일본야구통신원 윤석구 http://hitting.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