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21일자 보도에 따르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팀은 러시아 잘라부르가와 스웨덴 북쪽 남포르센의 거대한 화강암 유적지에서 이미지 2500여 개를 발견하고 이를 관찰했다.
이 화강암 유적지는 각각 축구장만한 거대한 규모이며, 여기에는 사람이나 동물, 배, 사냥하는 모습 뿐 아니라 사냥에서 성공하는 방법, 위기가 닥쳤을 때 살아남는 방법 등의 정보가 그림으로 새겨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고대 인류가 수백 년에서 수천 년간 지정된 장소에 그림을 그려 대화를 해 왔으며, 이것은 그들이 현대의 소셜네트워크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인간관계를 맺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마크 셉웰 케임브리지 대학 고고학자는 “오늘날 사람들이 자신의 기분이나 남에게 알리고 싶은 정보를 글로 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가 생기기 전 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방법으로 사람들이 소통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유적지는 초기 소셜 네트워킹 형태를 의미하며, 돌 위에 새겨진 그림들로 미루어볼 때 당시 고대인들은 매우 사회적인 태도를 지녔을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이러한 방법은 수천 년을 거쳐 서로 다른 사람들끼리 묻고 답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지가 현대 모바일(Mobile)의 시작을 알리는 것과 비슷하며, ‘선사시대 버전의 페이스북’ 흔적은 고고학적으로도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