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 연구팀이 탄자니아에서 발견한 부서진 유골 조각을 통해 인류의 육식 역사를 밝혀냈다.
스페인 마드리드의 콤플루텐세국립대학교(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UCM) 연구팀은 1억 5000년 전 살았던 2세 이하 어린이의 부서진 두개골 조각 내 영양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육류 섭취와 연관된 비타민B가 결여되면서 발생한 질병의 흔적을 발견했다.
초기 인류는 규칙적으로 육류를 섭취한 결과 큰 뇌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곧 인류의 번성으로 이어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연구를 이끈 마누엘 도밍거즈 로드리고 박사는 “육류 섭취 부족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발견됐다.”면서 “이는 인류가 이미 알려진 것보다 훨씬 이전부터 육류를 섭취해 왔으며, 인류 번성에 육류가 차지한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전 연구에서도 초기인류가 고기를 섭취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으나. 규칙적인 섭취였는지 드물게 가끔 섭취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깨진 두개골 조각에서 영양소 결핍으로 생긴 뼈 손상, 빈혈 등의 증상의 발견을 통해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증상은 유골의 주인인 아이가 젖을 뗀 뒤 고체 음식을 먹기 시작할 때 육류를 전혀 섭취하지 못했다거나 또는 모유를 주는 산모가 육류를 제때 충분히 섭취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연구팀은 “위의 두 가지 사례 모두 초기 인류가 사냥을 했으며 1억 5000만년 전에도 인류는 규칙적으로 고기를 먹어왔다는 증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어 “채식주의자들에게는 끔찍하게 들리겠지만, 현재의 인류를 만든 것은 고기”라면서 “인간의 뇌 발달은 규칙적인 고기 섭취 없이는 불가능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실렸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