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자유학기제로 인해 수업 방식 또한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토론 및 실습, 실험, 프로젝트 수행 등으로 개선된다. 더불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재능을 발견하고 진로에 대해 모색해볼 수 있게 돼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자유학기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시험 폐지로 학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구체적인 진로를 탐색하기보다는 국·영·수 중심의 사교육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진로 교육에 필요한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최근엔 자유학기제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도 했다. 특히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주최한 ‘2013 진로교육 국제포럼’에선 한국의 자유학기제 모델로 알려진 아일랜드의 전환학기제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에 관한 이야기를 전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자유학기제가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특정학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급이 올라가면서 학생의 진로개발 과정을 지속해서 피드백해주어야 하며 진로교육 지원체계와의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면서 ”포트폴리오 작성, 활동내용에 대한 구술설명 등 활동 평가 방안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녀들의 대학입시를 앞둔 학부모들은 자유학기제를 자녀들의 교육을 위한 중요한 기회로 보고 있다. 자유학기제 때 시행되는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설정함과 동시에 진로체험 활동, 동아리 활동 등을 진행해 입학사정관제에도 미리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13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입학사정관제 합격생의 80%는 진로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가는 학부모들은 진로 체험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회로 여겨 자녀의 진로 커리어를 꾸준히 쌓아나갈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에 발 빠르게 참여하고 있다.
진로교육 전문기업 지산교육 권태욱 대표이사는 “한 학기 동안만 이루어지는 단기간의 활동 시간이 아닌 자녀의 진로 커리어에 맞는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다양한 기관에서 진행하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관심 두고 참여한다면 커리어 포트폴리오 작성에서도 유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서울대 출신의 연구진과 해당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임직원들로 구성된 진로교육 전문 기업 지산교육은 22개 대학, 학과별로 진행되는 유오디 진로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진로캠프는 전공별 멘토링 형식으로 진행돼 희망 학과, 직업과 관련된 체험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적성 발견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진로진학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도록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