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수험생들 수능 끝나고 할 일로 라식수술 계획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최근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수험생들이 수능이 끝나고 외모를 가꾸고 싶어한다. 이 가운데 안경이나 렌즈의 불편함을 느끼던 학생들은 라식•라섹 등의 시력교정수술을 받기 위해 안과를 찾는다. 이에 맞춰 병원들의 수험생 할인이벤트가 진행될 정도다.

하지만 안전한 시력 교정 수술을 위해서는 할인 이벤트에 현혹되기 보다 기본적으로 라식•라섹 수술을 잘하는 곳에서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하고 있다.



성공적인 시력교정 수술을 위해서는 사전 정밀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으로 꼽힌다. 수술 가능 여부와 최적의 수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선 충분한 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원장은 “사전 검사는 기본적인 안과 검사, 수술 가능 여부 검사, 수술 방법 결정 검사, 수술 결과 향상을 위한 검사, 부작용 예측 검사 등 충분한 정밀 검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수술장비에 대한 체크도 필수다. 최근에는 미세각막 절삭기를 이용한 칼날라식보다는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라식이, 알콜라섹 보다는 레이저라섹이 가능한 시력교정전문 안과를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 라식 수술 장비가 어떤 것들이 있고 검사 결과에 따라 본인에게 맞는 장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장비가 갖춰줘 있는지도 꼼꼼히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은 풍부한 임상경험이 있는 시력교정수술 전문의를 통해 진행되는 것이 기본. 아무리 장비가 좋아도 풍부한 임상경험이 없으면 성공적인 시력 교정수술을 담보할 수 없다. 설령 수술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그것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고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미리 예측해서 생기지 않도록 처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맞춤수술이 가능한 안과가 등장하고 있다. 눈은 사람마다 각기 다르므로 검사 결과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맞춤수술이 가능한 안과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맞춤수술은 안구건조증, 야간 빛 번짐, 고도 근시, 고도 난시,, 고위수차, 근시퇴행, 각막 혼탁 등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수술 이후 사후관리도 중요한 요소다. 안과에 따라서는 라식보증서 발급을 통해 사후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다. 이런 사후 관리는 안압 상승, 근시 퇴행, 각막 혼탁, 안구건조증, 시력 저하 등 라식부작용에 대해서도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원장은 “성공적인 시력 교정 수술이 되기 위해서는 수술 받는 분들이 보다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며 “한번의 검사를 통해서 수술을 받는 것보다 여러 번 다른 안과에서 검사와 상담을 받아보고 수술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리서울안과는 한국브랜드경영협회가 주최하고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 ‘2013 소비자 신뢰 대표브랜드’에서 라식, 라섹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美 F-35 72대 한꺼번에 인도…韓 추가 도입엔 영향?
  • “사망자 30만명 예상”…日 사흘간 지진 300회, ‘7월
  • 승려 9명 옷 벗었다…승려들 유혹해 성관계 후 164억 뜯어
  • 114세 초고령 할머니가 밝힌 ‘장수 비결’ 음식은 ‘이것’
  • 6세 소녀와 결혼한 45세 남성 얼굴 공개…‘경찰’ 반응은
  • 나라 망신…한국 50대 男, 필리핀 13세 소녀 임신시키고
  • (영상) “다른 남자에게 성폭행당해 임신한 여친, 용서 못
  • 외국男과 ‘하룻밤’ 보낸 여대생 퇴학시킨 대학 논란…이유는?
  • “36세인데 17세로 보인대요” 동안 호소남 등장에 시끌시끌
  • “토끼 보러 갈래?” 中 7세 성폭행 살해범, 사형 처해져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