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널리 알려진 한 과자업체 광고의 노랫말처럼 사람은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인간만의 능력은 아닌 것 같다. 개를 비롯한 일부 갯과동물이 서로 눈빛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도쿄공업대와 교토대 공동 연구팀이 실험을 통해 동료 간에 서로 눈빛을 확인하기 수월한 갯과동물일수록 무리지어 생활하고 협동해 사냥하는 생활방식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우선 25종에 달하는 서로 다른 갯과동물에 관한 눈의 형태와 색상 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회색늑대와 같은 무리지어 협동 사냥하는 일부 동물은 눈의 색상 대비가 뚜렷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주로 단독 생활하는 동물의 눈은 그 형태를 다른 무리가 알아보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팀은 이들 갯과동물의 눈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첫 번째 A그룹에는 동공보다 밝은 홍채를 갖고 있어 눈의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회색늑대와 코요테, 황금자칼과 같은 동물을 포함시켰다.
이어 눈동자의 대비가 뚜렷하지 않아 그 위치를 알아보기 어려운 갈기늑대와 딩고, 사막여우를 두 번째 B그룹에 포함시켰다. 특히 이런 종은 무리 생활하는 앞 그룹과 달리 주로 단독 생활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눈은 물론 그 주변 털 색상이 비슷해 눈이 어디에 붙어있는지 구분조차 어려운 덤불개와 너구리, 리카온과 같은 동물을 C그룹에 포함시켰다. 이들은 무리를 이루긴 하지만 대개 홀로 사냥하는 습성을 지녔다.
또한 연구팀은 이처럼 각 그룹에 속한 종들을 관찰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야생이 아닌 동물원에서도 이런 종은 눈의 특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회색늑대와 같은 A그룹은 동료간에 한 번 시선을 마주칠 때 평균 3.3초가 걸린 반면, 사막여우와 같은 B그룹은 평균 2초, 덤불개와 같은 C그룹은 1.4초가 걸렸다. 회색늑대의 경우, 시선 마주침을 최대 38초간 지속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진 동물이 상대의 시선을 읽을 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읽기 위한 시간도 긴 것으로 판단됐다”면서 “의사소통에 시선을 활용하는 능력이 특히 발달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는 같은 과에 속하는 동물에서 홍채 색상의 차이점은 인간의 피부색처럼 햇빛 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이론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을 통해 제기됐다. 연구팀은 북극부터 아열대 기후에 걸쳐 세 지역에 서식하는 늑대 아종의 동공 색상을 확인했지만, 이론과 달리 홍채의 색상에 그리 큰 차이를 찾지 못해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다.
연구를 이끈 우에다 사오코 교수는 “이런 눈빛 교환을 통해 나누는 의사소통이 개를 포함한 일부 갯과동물들에는 중요한 도구”라고 설명했다.
개는 이전 연구를 통해서도 우리 인간의 감정을 잘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들이 지난 수천년간 인간과 함께 살면서 자신들끼리 쓰던 사회적 수법으로 우리를 보고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진=포토리아(위), 플로스원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