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질병 당국이 치료약도, 백신도 없는 이 무시무시한 전염병에 20년도 더 된 ‘수혈’ 요법을 동원하고 있다.
뉴스위크 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서아프리카에서 봉사활동 중 에볼라에 감염돼 현재 미국 병원에서 )는 미국으로 이송되기 전 자신이 치료했던 14세 에볼라 생존자 소년의 혈장을 주입받았다.
이 요법은 생존자 혈액 안에 에볼라와 싸워 이긴 항체가 있으니, 이 항체가 들어 있는 혈액을 다른 환자에게 주입하면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논리에 따른 것.
실제로 20년 전인 1995년 콩고에서 에볼라로 245명이 사망했을 당시 콩고 의사들은 서방 의사들의 반대에도 이 요법을 실험적으로 적용했다. 그 결과 생존자의 혈장을 주입받은 환자 8명 중 무려 7명이 살아남았다. 즉 생존율이 90%에 달했던 것.
과거 아르헨티나에서도 이 요법을 다른 전염병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가 있다고 뉴스위크는 전했다.
이러한 조치 덕분인지는 불분명하지만 브랜틀리 박사는 미국으로 송환된 이후 상태가 점차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례들에도 각국 의료 당국이 이를 치료법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간 생존자 혈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의학적인 증명 실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뉴스위크는 “혈액을 기증한 14세 소년의 사례가 현재 세계가 모두 기다리는 에볼라 치료법 개발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했다.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된 또 다른 미국인 낸시 라이트볼(60·여)도 브랜틀리 박사가 입원 중인 미국 에모리대 병원으로 곧 이송될 예정이다.
WHO는 이번 에볼라 창궐로 현재까지 최소 1천440명이 감염됐으며 826명이 사망했다고 집계했다.
한편 에볼라 바이러스가 창궐한 라이베리아에서는 사망자 시신이 나흘간 거리에 방치되는 등 현지의 대응능력이 한계에 달하고 있다.라이베이라 정부는 시신 접촉으로 인한 에볼라 확산을 막기 위해 앞으로 시신을 화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이베리아 수도 몬로비아의 병원에서는 환자는 넘쳐나는 반면 감염 공포로 의료진 상당수가 철수하는 바람에 에볼라 환자를 받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