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스마트 안경인 ‘구글 글래스'를 착용하고 운전할 시 휴대전화 문자 사용 만큼이나 위험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에드워드 구 박사 연구팀이 임상 실험을 통해 운전 중 구글 글래스 사용이 위험하다는 논문을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구글의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인 구글 글래스는 미 현지에서 첫 중독 환자가 나올만큼 점점 대중화 되고 있다. 문제는 구글 글래스가 일상생활에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할 만큼 그 범위가 무궁무진하다는데 있다.
이번 구 박사팀의 연구 역시 일반인이 구글 글래스를 착용한 채 운전할 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그 결과 연구팀은 구글 글래스 착용 후 운전이 휴대전화 문자를 하며 운전하는 것 만큼이나 위험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바로 구글 글래스 착용으로 인한 '주변 시야'의 방해 현상이다. 이는 보통 안경을 착용했을 때보다 더 큰 사각지대를 만들어 내기 때문.
구 박사는 "주변 시야는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면서 "구글 글래스를 착용할 시 카메라 모듈 등이 장착된 오른쪽의 주변 시야가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시각 방해 현상은 왼쪽 시야로 보충할 수 없다" 면서 "운전은 물론 사이클, 런닝 등에서 구글 글래스 사용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가 의미있는 것은 현실에서 구글 글래스 사용 규제로 나갈 수 있는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 일부 주에서는 구글 글래스가 운전을 산만하게 한다는 이유로 착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멀티비츠 이미지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