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있는 사람만 초콜릿 먹는 세상 올까?
초콜릿의 인기는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달달한 초콜릿은 어린이들에게 인기 만점의 간식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고, 씁쓸한 맛이 특징인 ‘다크 초콜릿’ 유행이 시작되면서 건강을 중시하는 성인들도 초콜릿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했다.
초콜릿 속 당분이 비만 및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가 피로회복을 도우며, 더불어 다이어트 효과까지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초콜릿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부터다. 관심은 늘었지만 공급은 도리어 줄고 있다. 덩달아 원자재 가격도 치솟았다. 초콜릿을 찾는 수요가 너무 많아져서일까? 그렇지 않다. 생산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유명 초콜릿 회사인 ‘마스’(Mars)는 2020년까지 생산량이 약 1억t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위스의 유명 초콜릿 제조업체인 ‘바리 칼레보’(Barry Callebaut) 역시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판매량이 11.7% 증가했지만 마냥 웃지 못한다. 뚜렷한 카카오 품귀현상이 그 이유다.
‘바리 칼레보’ 측에 따르면 지난 8월 카카오 1t 당 가격이 2000파운드(약 345만원)로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이는 8년 전의 2배에 달하는 가격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초콜릿 강국’으로 불리던 유럽에서는 어려워진 주머니 사정 때문에 소비가 감소했다.
이밖에도 원인은 다양하다. 카카오 농사가 병충해의 영향을 받아 생산량이 감소했고,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에볼라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카카오 가격이 급등했다. 초콜릿 업계는 이를 막기 위해 ‘에볼라 기금’까지 마련했지만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은 유럽의 주요 초콜릿 업체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 됐다. ‘바리 칼레보’에 따르면 지난 해 아시아 내에서의 판매량은 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에서는 5.4%, 유럽에서는 단 0.1%만 상승한 것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판매량이다.
‘마스’ 측은 늘어난 수요에 대비해 올해 초 미국 캔자스 지방에 한화로 약 3000억 원 가량을 들여 새 카카오 농장을 사들였다. 지난 달 ‘바리 칼레보’ 역시 브라질 상파울로에 1255억 원을 들인 새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업체 측이 공급에 주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초콜릿 가격은 꾸준히 올라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에서는 “이러다 초콜릿이 돈 있는 상류층 사람들만 사먹을 수 있는 간식이 될지도 모르겠다”며 불안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