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인공위성보다 날렵한 몸체와 빠른 속도로 ‘우주의 페라리’라는 별칭으로 불렸던 과학위성 ‘고스’(GOCE, 지구중력장 탐사위성). 지금으로부터 1년 전쯤, 수명이 다해 남극 인근에 떨어져 장렬하게 연소한 이 위성이 ‘뜻깊은 유산’을 남겼다.
25일(현지시간) 에사(ESA, 유럽우주기구)가 공개한 유산은 인공위성 ‘고스’의 관측 데이터로 만든 해양대순환(OGC) 모델로, 우주 관측사상 가장 정확도가 높다. 해양대순환은 태평양과 대서양 등 각 대양에 공통된 해류의 규칙적인 순환을 뜻하는데, 쉽게 말하면 지구 바다의 흐름에 관한 정보로 이를 통해 해양과 지구 온난화의 주요 영향에 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에사는 이 모델에 쓰인 관측 데이터는 “지구 중력의 변화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정밀하게 분석한 것”으로 “해류의 유속에 관한 가장 정확한 모델을 만들 길이 열렸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국립연구위원회(CNR) 소속 대기과학·기후연구소(ISAC)의 마리엘렌 리오 박사는 이 데이터로 해양에 관한 “매우 귀중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고스 위성의 데이터는 가장 정밀한 ‘지오이드’(geoid)를 만드는 데 사용됐다. 지오이드는 중력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는 것으로 재현한 지구의 모습이다. 실제로 이 작업에서 생성되는 가상적인 평균 해수면은 현재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을 측정하는데 필수적인 기준이 된다.
지난 9월, 네덜란드 연구팀은 2009년 1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고스 위성에 기록된 남극에서의 중력에 관한 미세 변화를 이용해 남극 대륙 서부에서 얼음 손실량을 전례 없는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2009년 발사돼 지구 궤도권에 투입된 고스 위성은 수명이 다해 지난해 11월 11일 지구 대기권에 재돌입하며 소멸했다.
고스 위성은 원래 고도 260km의 상공에서 궤도권을 공전할 예정이었으나, 궤도 진입 시 224km라는 가장 낮은 고도로 지구를 공전하게 됐다. 이처럼 궤도가 낮은 영역의 대기 중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위성은 유선형으로 설계돼 ‘우주의 페라리’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됐던 것이다.
총비용 3억 5000만 유로(약 4810억원)가 든 고스는 원래 임무기간이 20개월에 불과했으나, 연료 소모가 예상보다 적어 그 두 배에 달하는 기간 동안 이어졌다.
사진=E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