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하게 보존된 고대 식충식물의 호박화석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지역에서 발견된 이것은 약 4000만 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 안에는 남아프리카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대 로리둘라속 식물이 고스란히 보존돼 있다.
로리둘라는 일명 끈끈이나무라고도 불리는데, 끈끈한 점액을 내어 곤충을 잡고, 이 과정에서 생기는 영양분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벌레잡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견된 고대 식물은 현존하는 로리둘라속에 속하며, 작은 파리나 비교적 큰 곤충 등을 주로 잡아먹으며 생존한 것으로 추정된다.
각기 다른 크기의 촉수는 먹이를 잡아먹는 도구로 활용됐는데, 먹잇감이 끈끈한 촉수에 걸려들면 식물은 소화효소를 분비해 벌레들을 녹이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분은 다시 촉수와 나뭇가지 등으로 흡수된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따르면 이 식충식물은 3500만 년에서 4700만년 전 에오세(Eocene)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연구한 독일 괴팅겐대학교의 에바-마리아 사도우스키 박사는 “이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된 육식성 식물의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나무 송진에 의해 화석이 된 이 식충식물은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신종 로리둘라과 식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물이 아닌 식물이 나무 송진의 호박 화석으로 발견된 사례는 많지 않다”면서 “로리둘라과 식물이 기존에 알려져 있던 범위보다 더 넓은 지역에서 서식했음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발견한 호박 화석의 희귀가치가 높고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해서 고대 식물의 서식환경 및 역사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