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아기를 키우는 젊은 여성들이 ‘모유수유의 자유화’를 외치며 거리로 나와 단체 모유수유를 하며 시위를 벌였다고 영국 BBC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번 시위는 최근 한 여성이 고급 레스토랑에서 모유수유를 하던 중 종업원에게 제지당한 일이 알려지면서 영국 전역으로 논란이 확산됐다.
루이스 번스(35)라는 이름의 이 여성은 지난 2일 가족과 함께 생후 12주 된 딸과 런던의 호텔 레스토랑을 찾았다. 그녀는 배가 고파 우는 아기에게 상의를 약간 걷어 올리고 젖을 물렸는데, 레스토랑 직원이 급히 다가와 그녀의 상반신을 냅킨으로 가렸다.
이에 불쾌함을 느낀 번스는 곧장 당시 상황을 담은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렸고, 이를 본 네티즌들은 명백한 인권침해라며 레스토랑을 비난하고 나섰다.
호텔 레스토랑 측이 공식 입장을 발표하기도 전, 영국의 한 정치인은 지난 5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아기를 공공장소에 데려오는 여성들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젖을 물리는 것은 삼가야 한다. 정 필요하다면 구석으로 이동하는 것이 옳다”면서 “공공장소에서 모유 수유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매우 당혹스럽다”고 말했고 이에 대한 비난은 더욱 거세졌다.
이에 항의하는 아기 엄마 40여 명은 지난 5일 아기를 데리고 문제가 된 호텔 앞에서 단체 모유수유 시위를 벌였다.
일부는 호텔 문 앞에 주저앉아 아이에게 젖을 물리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SNS에 올렸고, 또 다른 여성은 ‘이게 바로 여성의 가슴이 존재하는 이유다, 이 멍청아’ (That’s What Breasts ar for, stupid)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거리를 걷기도 했다.
생후 11개월 된 딸과 함께 시위에 참가한 엠마 블록(25)은 BBC와 한 인터뷰에서 “모유수유는 극히 자연적이고 평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모든 여성이 ‘모유수유 자유’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런던에 사는 한 여성(35)은 “레스토랑이 번즈의 가슴을 냅킨으로 가린 것은 잘한 일이다. 나 역시 내가 먹는 자리 앞에서 모유수유 하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고 반박했다.
호텔 레스토랑 측은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은 가운데, 영국에서는 2010년 공공장소에서 모유 수유하는 여성을 내쫓지 못하도록 하는 평등법을 규정한 바 있다.
사진=BBC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