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9년째 우주를 비행 중인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가 ‘유명’을 달리할 순간에 다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우주국(ESA)은 5일(이하 현지시간) 금성을 탐사 중인 비너스 익스프레스와 통신할 수 없게 됐다고 발표했다.
통신이 두절된 시점은 지난달 28일. 그후 ESA를 비롯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보유한 심우주 통신망(DSN) 등의 장비를 사용해 통신 복구를 위한 노력을 했으며 지난 3일부터 단편적으로는 탐사선으로부터 날아온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다.
그 정보로는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태양 전지판은 태양 쪽을 향하고 있고 그에 따라 기체가 천천히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A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로켓을 분사해 궤도의 고도를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 연료가 소진되면서 안테나를 지구 방향으로 돌릴 수 없게 된 것이 아니겠느냐고 유럽우주관제센터(ESOC)의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저장 장치에 남아있는 데이터를 받기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으며, 무사히 정보를 받게 되면 통신 두절 당시 탐사선에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 알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ESA는 앞으로도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2005년 11월 9일 발사돼 2006년 4월 11일 금성 궤도에 안착했고, 지금까지 9년간 관측 임무를 하고 있다. 애초 예정돼 있던 임무는 이미 완료한 상태이지만 지금까지 연장 임무에 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얼마 남지 않은 연료와 장비의 노후화 등으로 임무의 마지막이 가까워지고 있음은 이전부터 예고됐다.
또 올해 6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궤도 고도를 크게 낮추고 금성 대기의 상층부에 돌입해 그 저항에 따라 제동을 걸어 궤도를 바꾸는 ‘대기감속’(aerobraking, 에어로브레이킹) 기술에 관한 시험도 진행됐다.
미래의 탐사선 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 기술에 관한 시험은 어찌 보면 비너스 익스프레스의 목숨(?)을 건 마지막 작전이었다. 그 이유는 비너스 익스프레스가 언제 운용이 종료될지 모르는 한계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사진=E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