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당신이 화산 지대에 살고 있고 어느날 갑자기 화산이 분화해 집 근처까지 용암이 흐르고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대피할 수 있는 길은 오로지 하나뿐인데 그 위로 어느 정도 용암이 흘러내려 위험해 보이는 상황이라면 말이다.
이런 의문에 해답을 제시하듯 흐르는 용암을 신발을 신은 채 밟아보는 실험 영상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신경과학자 알렉스 리베스트가 최근 하와이 빅아일랜드 킬라우에아 화산에서 흘러나온 용암 위를 직접 신발을 신은 채 밟아보는 모습을 찍어 인터넷상에 공개했다.
영상에는 그가 등산화를 신은 채 용암 위를 살짝 밟았는데 불꽃이 일어나자 곧바로 발을 떼는 모습이 담겼다.
화산에서 흘러나온 용암은 섭씨 700~1200도 정도이며 저항이 가장 적은 곳을 따라 흐른다. 용암의 밀도는 물의 3배가량이다. 하지만 용암의 점도는 무려 수십에서 수백만 배나 된다. 따라서 좁게 흐르는 용암의 표면 장력이 높아 잠시 밟더라도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미국 데니슨대학의 화산학자 에릭 클레메티 박사는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이탈리아 시실리 에트나 화산에서 한 남성이 용암 위를 밟고 달린 것을 통해서도 검증된 바 있다.
한편 이번 영상이 촬영된 킬라우에아 화산은 생성 시기가 약 30만~60만 년 전으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이다. 이 화산은 지난 1983년 이후 간헐적으로 폭발해 왔다. 용암은 기존엔 남쪽으로 흘렀지만 2년 전부터 북쪽 기슭으로 흘러내리면서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왔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