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최근 출시된 차량들에 대한 ‘사이버 테러’에 유의해야 한다고 주장해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28일자 보도에 따르면, 영국 자동차협회(AA)회장인 에드먼드 킹은 영국 더 타임즈와 한 인터뷰에서 “인터넷과 연결된 하이엔드(high-end, 최고급) 럭셔리 차량의 경우 해킹으로 인한 범죄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면서 “이 같은 피해는 도로에서 운전 중일 때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가 언급한 시스템은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 장착된 차세대 안전시스템의 일종으로, 다른 차량과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사고 위험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에드먼드 킹 회장은 “사이버 범죄에 해당하는 이 네트워크의 해킹으로 안전이 불시에 위협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시스템 내부에 포함된 개인 정보가 빠져나갈 가능성도 높다”면서 “자동차 열쇠가 필요없는 ‘키 리스’(Key-less) 차량의 경우, 해킹을 당하면 차량 자체를 도난당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자동차에 첨단 기능이 더해질수록 사이버 범죄의 타깃이 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의도적으로 자동차 안전 시스템을 파괴할 수 있어 우려된다고 전했다.
또 인터넷통신이 가능한 차량을 소유했다면 반드시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차량 내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전화 통화나 내비게이션 다운로드 시에도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우려는 네트워크가 결합된 무인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두고 더욱 증폭되고 있다. 네트워크화 된 무인 자동차는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지만, 자동차 제어망과 통신망 등이 해킹당할 경우 자동차가 전속력으로 역주행 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무인자동차는 테러나 암살과 같은 범죄에 사용될 우려도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 해킹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생명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