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도 어김없이 지구촌 곳곳에서는 수많은 사건과 사고가 발생했다. 슈퍼 태풍등 거대한 자연의 위력 앞에 인간은 작아졌고 일부 지역은 포탄으로 밤을 환하게 밝히기도 했다. 또한 소치 동계올림픽의 성화는 차가운 공기를 녹였으며 브라질 월드컵의 열기는 아프리카 사막 만큼이나 뜨거웠다.
지구촌에서 벌어진 이 모든 과정을 가장 높은 곳에서 지켜보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350~460km 상공 위에 떠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우주인들이다. 올 한해 ISS에서 촬영된 사진 중 주목할 만한 이미지를 정리해 봤다.
<우주에서 본 남과 북>
올 한해 ISS에서 촬영된 모든 사진들 중 외신들이 가장 주목한 '작품' 이다. 지난 2월 미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이 사진은 남과 북의 야경을 찍은 것으로 마치 남한은 섬나라처럼 보일 정도로 칠흑 같은 바다 위에 떠있다. NASA는 "북한의 경우 불빛이 없어 해안선이 구분조차 되지 않는다" 면서 "북한의 수도 평양이 내뿜는 불빛 조차 남한의 중소 도시만도 못하다"고 평했다.
<우주에서도 보이는 불타는 소치올림픽 ‘성화’>
지난 2월 우리 머리 위 350km 상공에서도 소치올림픽의 성화가 목격됐다. 검은색으로 보이는 흑해와 오렌지 빛이 대비되는 이 사진에서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성화. 사진 중앙 부근에 동그란 원 형태로 보이는 성화의 모습은 지상의 열기를 그대로 우주에 전달하는듯 밝게 불타 오른다.
미 NBC 방송은 이 사진을 보도하며 “마치 소유즈 로켓이 발사되는 것 처럼 올림픽의 가장 강력한 상징이 솟구치고 있다”고 전했다.
<우주에서도 월드컵 열풍>
우주인들도 지구 상에서 펼쳐지는 월드컵에 관심이 많았다. NASA는 지난 6월 2014 브라질 월드컵 개막일에 맞춰 ISS에서 촬영한 리우데자네이루와 상파울루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사진에서 우측에 영롱한 주황색 불빛이 산개한 부분이 수도인 상파울루이며, 중심 부분이 리우데자네이루이다.
<지구를 휘감는 슈퍼태풍 너구리>
지난 7월 한반도로 다가왔던 슈퍼태풍 너구리 역시 ISS에서 촬영된 주요 작품 중 하나다. 미국의 우주비행사 리드 와이즈만과 독일인 알렉산더 거스트는 각각 너구리의 모습을 기록으로 남기면서 "태풍이 너무 커서 렌즈 안에 다 들어오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우주에서도 목격된 가자 지구 폭격>
지구 밖에서도 번뜩이는 인간의 광기(狂氣)가 목격됐다. 지난 7월 우주비행사 알렉산더 거스트는 치열한 교전과 공습이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과 가자 지구를 촬영해 기록했다. 거스트는 이 사진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리며 “내 생애 가장 비극적인 사진”이라면서 “ISS에서도 이스라엘과 가자 상공 위로 날아다니는 로켓과 폭발을 볼 수 있다” 며 암울한 상황의 소회를 밝혔다.
<우주에서 본 환상적인 슈퍼문>
평상시보다 달이 더 크고 밝게 빛난다는 슈퍼문이 우주에서도 관측됐다.
지난 8월 ISS에 머물고 있는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올레그 아르테몌프가 트위터에 환상적인 슈퍼문의 모습을 공개했다. 지상에서 바라본 슈퍼문과는 또다른 느낌을 자아내는 이 사진은 처음 지구 위로 밝은 빛을 발하며 떠오른 달이 얼마 후 수줍은 듯 색이 바래며 사라지는 모습을 담고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