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후각이 발달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범죄가 발생하면 범인의 옷가지나 소지품의 냄새를 맡게 한 뒤 수색 현장에 투입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해외 연구진은 개가 평소 알려진 만큼 후각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듀크대학교 연구진은 전 세계의 개 50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진은 각각의 개 앞에 입구가 아래로 향하게 뒤집어놓은 컵 2개를 보여줬다. 개가 보는 앞에서 하나의 컵 아래에 먹이를 놓아두고 눈을 가린 뒤, 개가 보지 못하는 동안 또 다른 컵으로 먹이를 옮겨 놓았다.
안대를 풀고 다시 앞을 볼 수 있게 된 개에게 먹이를 찾을 것을 지시했다. ‘예상’대로라면 개는 냄새를 맡아 먹이가 있는 컵을 선택해야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개는 매우 ‘단순하게’ 자신이 마지막으로 본 먹이가 있는 컵(현재는 먹이가 없는 첫 번째 컵)으로 달려갔다.
연구를 이끈 에반 맥린 박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가 모든 상황에서 후각을 가장 먼저 활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틀린 사실”이라면서 “실제로 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후각을 가장 먼저, 많이 활용하기 보다는 모든 감각을 골고루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위의 실험에서 개가 가장 먼저 이용한 것은 후각이 아닌 기억력이었다. 기억력은 모든 동물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대하고 결정적인 능력이다. 기억을 통해 이해의 패턴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다음 상황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개가 사람과 마찬가지로 환경에 따라 능력이 발달할 수 있으며, 모든 개가 후각 등 특별한 감각만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력이나 의사소통, 주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발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함께 연구를 이끈 듀크대학교의 브라이언 하레 박사는 “많은 사람들은 ‘지적 능력’이 일종의 유리잔에 담긴 물처럼 가득 채워지거나 덜 채워지는 성격을 가졌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면서 “지적능력은 아이스크림과 비슷하다. 모두 다른 ‘맛’의 다양한 지적능력을 가지고 있다. 개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