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18왕조 제12대 왕이자 ‘소년왕’으로도 유명한 고대 이집트의 투탕카멘의 무덤이 발굴됐을 당시 찍은 사진의 컬러가 최초로 복원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개된 사진들은 1922년 영국의 고고학자인 하워드 카터가 왕들의 계곡에서 투탕카멘 왕의 무덤을 발견한 직후 당시 발굴에 동행했던 사진작가 해리 버튼이 기록한 것으로, 당시 기술의 한계로 인해 모두 흑백사진으로 보관돼 있었다.
때문에 투탕카멘 무덤에서 발견된 ‘황금가면’ 등의 금빛 유물이 발굴 당시 실제로 어떤 빛을 내고 있었는지, 또는 발굴현장의 색채는 어땠는지 등은 대체로 역사학자들의 글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다.
3000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유물들의 생생한 당시 모습은 투탕카멘 무덤 발굴 93주년을 기념해 최초로 컬러 복원이 시도됐다.
황금가면 뿐만 아니라 무덤에서 함께 발견된 사산된 아기의 미라, 투탕카멘의 황금관을 바라보고 있는 하워드 카터와 그 주변의 모습, 수 천 년전 왕과 함께 묻힌 다양한 예술품, 자칼의 머리가 달린 죽음의 신 아누비스 등이 기존의 흑백 이미지에서 컬러 이미지로 다시 태어난 것.
이번 복원 작업은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했으며, 유물이 3000년 이후 후손의 ‘손을 타기’ 전, 있는 그대로의 모습과 컬러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고고학계에서도 매우 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투탕카멘 무덤이 발굴된 지 93년이 지난 올해, 최근 전문가들은 무덤 벽 안쪽에 숨겨진 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추측을 내놓았다.
이집트 유물부와 해외 고고학자들이 모인 연구팀은 투탕카멘의 무덤 안에서 온도차이가 나는 벽을 확인했으며, 이 공간은 네페르티티의 무덤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 상황이다. 실제로 투탕카멘의 무덤은 하나의 방이 아닌 여러 개의 방이 이어진 복잡한 형태이며, 무덤 벽에 그려진 그림이 투탕카멘이 아닌 네페르티티를 형상화 한 것이라는 점도 위의 추측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대 이집트 왕족은 투탕카멘이 19살의 나이에 갑작스럽게 사망해 무덤을 만들 시간적 여유가 없었고, 투탕카멘이 사망하기 10년 전에 세상을 떠난 네페르티티 왕비의 묘에 투탕카멘의 묘를 이은 형태라고 추정하고 있다.
네페르티티는 투탕카멘의 아버지인 이집트 제18왕조 제11대왕인 아크나톤의 첫 번째 부인이며, 고대 이집트를 대표하는 미녀로도 유명하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