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스마트폰을 울려대는 메시지·이메일 도착 알림이 현대 직장인 스트레스의 주요한 근원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끈다.
최근 영국 런던 소재 직장인 심리 연구소 ‘퓨처 워크 센터’(Future Work Centre)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메일은 유용한 의사소통 수단이지만 동시에 직장인들에게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안기는 ‘양날의 검’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영국 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직업인 2000명을 상대로 각자의 이메일 사용 습관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스마트폰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 기능을 지속적으로 켜 놓았을 경우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고 응답했다. ‘푸시 알림’ 기능이란 사용자가 이메일 혹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시키지 않아도 끊임없이 새 메시지 도착 사실을 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퇴근 이후에도 작동하는 이러한 푸시 알림 기능 때문에 현대 직장인들은 스스로를 ‘언제나 업무 가능한 상태’로 여기게 됐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러한 인식은 더 나아가 각 기업 전반적으로도 ‘언제나 업무 관련 메시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일종의 불문율을 형성시킴으로써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를 한층 가중시키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런 경향은 기업 측에서도 환영할 수 없는 사안이다. 연구팀은 푸시 알림으로 인해 증대된 업무 스트레스가 직원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업무능률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경고했다.
개인 차원에서 이러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자 한다면 이메일에 지배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메일을 주도적으로 통제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연구를 이끈 리처드 맥키넌 박사는 조언한다.
박사는 “이메일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만 이메일 앱을 열고, 메시지 도착 알림에 방해받고 싶지 않을 때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며 원치 않을 때에는 푸시알림 기능을 꺼 놓을 것을 권장했다.
한편 연구팀은 IT, 마케팅, PR, 인터넷, 언론 등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이메일 스트레스가 컸으며, 또한 젊은 직장인들일수록 이메일 압박을 심하게 느꼈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조금씩 감소했다고 밝혔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