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에 접어들면서 흔히 겪게 되는 ‘중년의 위기’는 어쩌면 그동안의 고정관념 때문에 생기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오늘날, 중년의 위기는 TV 드라마의 단골 소재가 됐을 정도로 사회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우리가 정말로 중년에 불만이 정점을 찍는 것이 사실인지 캐나다 앨버타대 연구팀이 장기간 추적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이를 통해 중년의 위기는 실존하지 않으며, 인간은 실제로 40대가 됐을 때 18세 때보다 더 행복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사회적 통념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행복은 유(U)자형 곡선을 따르며, 중년의 위기로 알려진 40대 무렵에 최하점을 찍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제 연구팀은 행복이 중년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10대와 20대 초반에서 중년이 될 때까지 점점 증가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기존 연구들보다 훨씬 더 신뢰성이 큰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의 하비 크란 사회학과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어느 특정 시점에서만 행복을 측정한 ‘횡단적 연구’였다”면서 “반면 이번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복을 측정한 ‘종단적 연구’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행복감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캐나다에 사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을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눠 장기간 추적 조사했다. 이들 학생은 모두 곧바로 취업 전선에 뛰어들었는데 18세는 43세가 될 때까지, 그리고 23세는 37세가 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행복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한 것이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30대 후반까지 느끼는 행복감이 증가했다. 이후 고졸 출신 그룹은 43세가 될 때까지 행복감이 조금 하락했다.
이런 관계와 고용 변화와 같이 삶의 변화에 관한 요인을 제외한 결과에서도 두 그룹 모두 여전히 고등학교와 대학교 이후 행복이 증가했다.
특히 행복은 사람들이 18세부터 30대 후반이 될 때까지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이뿐만 아니라 당연하듯이 사람들은 결혼을 하게 되거나 신체적으로 건강한 시기에는 가장 만족감이 컸고 실직했을 땐 행복감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연구는 우리의 행복이 중년에 떨어진다는 중년의 위기에 관한 고정관념을 반박하는 것.
이에 대해 연구팀은 “오늘날 사람들에게 중년의 위기를 믿도록 한 지난 50년 간의 기존 연구들에는 ‘근본적인 결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연구저자인 낸시 갈람보스 앨버타대 교수는 우리의 수명과 건강, 전반적인 웰빙에 영향을 주는 행복을 측정하고 이해하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고 말한다.
갈람보스 교수는 “우리는 사람들이 더 행복해져 더 쉬운 인생 궤적을 갖길 원한다”면서 “또한 그들이 행복을 통해 의료체계와 사회에 비용을 덜 들이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발달 심리학 저널’(journal Developmental Psychology)에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