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펀자브주 72명, 벨기에 브뤼셀 31명, 코트디부아르 그랑바상 19명.
안전 지대는 없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대륙을 넘나들며 자행되고 있는 폭탄테러에 무고한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 세 나라에서 일어난 테러의 배후는 각각 탈레반, 다에시(IS·이슬람국가), 알카에다였다. 이들 테러조직들은 극단주의 이슬람 무장단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전세계에 '이슬라모포비아'(이슬람 혐오증)를 불러 일으키는 배경이다.
며칠 전 서울 남부버스터미널역 인근에 테러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한 택시기사가 “아랍인이 큰 가방을 메고 있어 테러가 의심된다”고 경찰에 신고한 것이다. 아마도 이 택시기사는 아랍인=무슬림=테러리스트라고 연결 지은 게 분명하다. 물론 지금 같은 때엔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아랍인이 모두 무슬림은 아니고 무슬림이 모두 테러리스트인 것은 더욱 아니다.
예의 이슬람 무장단체들은 수니파 이슬람의 보수적 분파인 와하비즘을 신봉하는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교다. 사우디는 와하비 종파를 퍼트리기 위해 세계 곳곳에 와하비 모스크를 세우고 자금을 대주고 있다. 지그마어 가브리엘 독일 부총리가 지난해 말 사우디에 이슬람 극단주의의 온상이 되는 모스크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하라고 촉구한 이유도 수니파 이슬람의 와하비 교리와 다에시의 이데올로기가 유사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그러나 다에시(IS)와 비교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한다. 사우디 법원은 지난해 11월 배교(背敎) 혐의로 팔레스타인 출신 시인에게 사형 판결을 내렸는데 이를 두고 트위터에 "IS 같다"고 쓴 네티즌을 고소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또한 자국내에서 다에시에 가입했다고 의심되는 자들을 소탕 중이다. 안보 당국은 지난 2주간 82명의 테러 용의자를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러 용의자들에 대해 한 사람당 100만리얄(약 3억원)이라는 현상금도 내걸었다.
지난해 12월 다에시에 맞서기 위해 수니파 이슬람 34개국과 군사동맹을 구축한 사우디는 지난 27일 군사 수장들을 수도 리야드로 불러 반(反)테러를 위한 대담을 가졌다. 사우디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 사우디를 테러리즘의 온상지로, 테러조직의 돈 줄로, 테러리스트들과 한통속으로 보는 시선들이 많다.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하고 있는 유세프 알 나이미는 “사우디가 다에시의 이데올로기를 키우고 있고 다른 나라에 이를 전파하고 있다는 주장은 평생 사우디를 살아온 사람으로서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단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에시와 사우디인들의 이데올로기를 연관 짓는 전세계 매체들을 보면 화가 난다”며 “그런 기사들을 보면 테러 현상 뒤에 사우디가 있다고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우디 인들도 파리, 브뤼셀, 터키, 라호르 그리고 사우디 도시인 알 아샤, 담맘, 아시르 등에서 다에시가 한 짓에 경악하고 혐오감을 느낀다”면서 “ISIS 혹은 사우디인들이 부르는 다에시로 인해 희생된 이들 중 무슬림들이 가장 많다. 다에시는 이슬람의 이름을 훔쳐 쓰고 있다. 그들이 많은 뉴스 미디어에서 ‘이슬람 국가(Islamic State)’라고 공식적으로 불리는 것도 거슬린다”고 했다.
알 나이미는 담맘의 한 모스크에서 일어난 테러 사건이 가장 충격적이었다고 했다. 여자로 변장한 다에시 대원이 모스크로 들어가 사람들을 죽였는데 그를 저지했던 사람들 중 한 명이 자신과 같은 미국 유학생이었다. 끝내 그 유학생은 다에시의 또 한 명의 희생자가 됐다.
그는 그 유학생의 사진을 보면서 “나였다면 어땠을까?”하고 묻지 않을 수 없었다며 “그 유학생은 졸업도 하고 결혼도 할 계획이었을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리고 그는 이슬람을 생각한다면 어떻게 모스크를 날려버릴 수 있겠냐며 “선지자 마호메트는 ‘한 명의 무고한 생명을 죽이는 것은 인류 전체를 죽이는 것과 같고, 한 명의 생명을 구하는 것은 인류 전체를 구하는 것과 같다’고 가르친다”고 덧붙였다.
종교, 종파, 종족을 떠나서 테러 또는 전쟁은 단 한 명의 목숨이라 할지라도 인류의 문제다.
사우디의 우주비행사 술탄 빈 살만 알 사우드가 우주에서 지구를 본 소감을 이렇게 남겼다.
첫날에는 우리 모두 각자의 나라를 가리켰고, 사흘쯤엔 대륙을, 닷새쯤엔 우리는 지구는 하나라는 걸 깨달았다고.
윤나래 중동 통신원 ekfzhawodd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