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과 계절 사이에는 감기가 있다.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마다 감기는 꼬박 등장해서 사람들을 괴롭히며 계절의 바뀜을 알리곤 힌다. 약을 먹어도 잘 낫지 않고, 한참을 고생하게 한 뒤에야 뒷날을 기약하며 슬그머니 물러간다. '감기는 에이즈와 함께 양대 불치병'이라는 우스개 아닌 우스개가 나돌았던 배경이기도 하다.
숱한 불치병도 퇴치해내며 발전해가는 현대의학이 왜 이리도 사소한 감기를 막아내지 못할까?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것은 감기의 원인이 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체계로부터 ‘몸을 숨기는’ 방법을 알고 있는 탓이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 과학자들이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최신호에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본래 인간의 면역체계는 바이러스 침입을 감지하는 능력, 그리고 침입 사실을 신체에 경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감기바이러스는 침투 과정 중에 면역체계에 들키지 않도록 해주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 마치 탁월한 은폐, 엄폐 능력으로 몸을 숨기는 닌자차럼 숨어서 잠입하는 셈이다.
크리스티안 홀름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 조교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속에는 침투 사실을 감춰주는 단백질이 포함돼있다”며 “이 메커니즘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면역체계가 자신을 포착해 저항을 시작하기 전에 빠르게 체내에 확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여러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공통적으로 포함돼있는 단백질 구조를 일반 체세포에 적용시키는 방법으로 이러한 사실을 알아냈다. 해당 단백질에 노출된 세포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한 여타 바이러스들에 대한 반응 속도가 줄어들었다.
홀름 교수는 “바이러스를 보다 위험하게 만드는 이러한 요소 대해서 더 많이 알수록 치료법을 개발하기도 쉬워진다”며 이 연구가 향후 감기 및 기타 바이러스 질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한편 이번 발견은 류머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가면역질환이란 인간의 면역체계가 과다하게 작동해 신체의 정상적 세포와 조직을 공격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염증 등으로 이어진다.
사진= ⓒCDC
사진= ⓒ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