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가 만들어낸 빈부 격차는 사회 양극화의 원인이자 결과물이다. 교육, 경제, 주거 등 사회 여러 측면에서 ‘무한 반복’의 덫에 갇히게 만든다. 경제적 양극화로 인해 사회 계층 간 자유로운 이동이 제약을 받는 일은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영국에서도 부에 따른 교육 수준의 차이가 나타난다.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 15일(현지시간)는 원서지원시스템 유카스 보고서 통계를 인용해, 가난한 학생과 부자 학생 간 대학 입학률의 차이가 16.7%p에 달하는 등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부유층 학생들의 대학입학이 1.4%에서 32.8%로 증가하는 사이 저소득층 학생들은 0.3%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약 5배 정도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이는 교육을 통한 계층 간 이동이 제한적인 변동성이 약한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뜻한다.
보고서는 지난 10년 동안 저소득층 학생들의 입학 규모가 78%의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영국 보수당 테레사 메이 총리가 지난해 저소득층 학생들의 생활보조금을 폐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분석됐다.
또한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브렉시트도 교육 복지의 질 저하를 불러온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영국 지역 대학에 진학하는 유럽권 학생들의 숫자가 감소했다.
이와 더불어 ‘백인 남성’의 고등교육 소외 현상 역시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남녀 성비도 여성이 남성보다 35% 더 증가해 꾸준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유카스의 매리커넉 쿡 최고 책임자는 “대학 입학률이 낮은 집단의 75%가 남성인데 이들 대부분은 노동자 계층의 청소년들이며, 10명 중 9명이 백인집단”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등교육 자격 검정 시험(GCSE)결과를 향상시키는 일에 중점을 둬서 고등교육의 진입비율을 증가시켜야한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중등학교가 청소년들이 교육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지 않는다면, 사회의 계층 이동이 사실상 막히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를 접한 전문가들은 “사회적 유동성을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는 영국 정부가 교육의 공급과 투자에 초점을 맞춰 청소년들이 올바른 길을 가도록 돕고, 사회적 유동성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사진 = 포토리아(©Brian Jackson)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