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최대한 눈을 맞추며 대화하려고 노력한다. 아이 컨택(Eye contact)은 사람들 누구나 갖고 있는 강박관념중 하나다.
겁이 많은 사람처럼 시선을 거의 마주치지 않거나 정신병적으로 너무 자주 마주치는 것보다는 적당히 바라보는 것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왜 우리들은 눈을 맞추려고 하고, 그리고 왜 눈길을 돌리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걸까?
29일(현지시간) 영국 언론 인디펜던트는 최근 교토대 연구팀이 그러한 의문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인지 저널(Journal Cognition)’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들은 실험 지원자들이 모니터에 나오는 인물을 보고 간단한 단어 연상 게임, 단어 짝 맞추기와 말하기를 하도록 했다. 모니터 속 인물 중 일부는 지원자들의 눈을 보고 있고, 나머지는 다른 곳을 응시하고 있었다.
실험 결과, 눈을 맞춘 상태에서 더 어려운 단어를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선택하는데 시간이 약간 더 걸렸다. 반대로 아이 컨택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시간이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단어를 맞추기 위해 뇌를 쥐어짜면서 동시에 아이 컨택까지 하는 일은 너무 힘들다. 뇌가 시선을 회피하게끔 신호를 보내야 오직 단어를 찾는 일에만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이컨택과 말하기는 독립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아이컨택과 말하기의 두 과정이 영역-일반적인 체계의 인지적 영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눈을 맞추고 있으면 발화가 지연된다. 즉 대화를 잘 하려면 시선을 회피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는 기능적-역기능적 커뮤니케이션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언어와 비언어 채널의 작용과 방해도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질적으로 누군가와 눈을 맞추는 일은 감정적 소통을 더 낫게 하는데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이콘택을 하지 않는 편이 더 좋은 단어를 선택해서 말을 할 수 있고, 실제 대화에 더 활기를 불어넣는다. 시선을 마주치지 않아야 오히려 달변가가 될 수 있다.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