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中 수능’ 까오카오…929만명 수험생 7일 일제 실시

작성 2017.06.07 13:18 ㅣ 수정 2017.06.07 13:18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중국의 뜨거운 교육열을 상징하는 까오카오가 3일 간의 일정으로 7일 시작됐다. (사진=웨이보)


중국의 수능으로 불리는 2018년도 까오카오(高考)가 7일 시작됐다. 올해 까오카오는 7~9일 총 3일간 전국 23곳 성에서 일제히 진행됐다.

특히 올해는 지난 1977년 까오카오가 부활한 지 40년이 되는 해로 응시생 수는 약 929만 7000명으로 지난해 기준 940만 명에서 10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까오카오 응시생 수는 지난 1990년대 평균 280만명, 2000년대 평균 380만명, 2010년대 평균 9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1977년 까오카오가 재도입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다. 문화혁명과 청년 인재 하방 운동 등으로 빚어진 인재 공백 상태를 타계하기 위한 방편으로 재도입된 까오카오를 통한 대학 진학률은 1977년 5%에서 지난해 기준 75%로 지난 40년 동안 1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중국 수능은 ‘신(新)까오카오 원년’이라고 불리며, 지금껏 대학 입시 한계로 지적됐던 수험생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이과생과 문과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제도가 처음 도입됐다. 해당 제도를 통해 현재 저장성, 상하이 등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실시됐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 까오카오 응시생은 문·이과생 구분없이 각자 자율적으로 선택한 ‘2문과 1이과 과목’ 또는 ‘2이과 1문과 과목’ 등을 골라 시험에 응시, 수험자 자신의 자율 재량권의 폭을 넓히는 것과 동시에 기존 까오카오의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교육부의 방침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해당 지역의 수험생 중 총 70%에 달하는 응시생이 이 같은 자율 과목 선택제에 응시했으며, 문과 과목만 선택한 응시생은 11%, 이과 과목으로만 시험에 응시한 학생의 수는 19%에 그쳤다.

확대보기
▲ 중국의 한 고등학교 까오카오 응시생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사진=웨이보)


이 같은 대학 진학을 위한 까오카오 시험의 다변화는 해외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인재 공백을 메우기 위한 정부 방침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올해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등 해외 대학으로 진학한 중국인 유학생의 수는 270만 명으로 매년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학생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올해 교육부는 각 지역 중점 대학으로 꼽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입학 정원을 확대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국내 대학 진학률을 꾸준히 증가시키겠다는 방침이다. 각 지역 중점대학에는 베이징대학, 칭화대, 인민대 등 베이징 소재 대학 외에도 23개 성도에 속한 대학이 포함됐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추천! 인기기사
  • ‘이상한 성관계’ 강요한 남편…“부부 강간 아니다” 법원 판
  • 아내와 사별 후 장모와 결혼식 올린 인도 남성…“장인도 허락
  • 호찌민 관광 온 한국 남성, 15세 소녀와 성관계로 체포
  • 악몽 된 수학여행…10대 여학생, 크루즈 배에서 집단 강간
  • 14세 소녀 강간·임신시킨 남성에 ‘물리적 거세’ 선고…“가
  • 女 400명 성폭행하는 정치인 영상 ‘발칵’…“2900여개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용의자 중 11살짜리도”…소년 12명, 14세 여학생 집단
  • “내가 남자라고?”…결혼 직전 ‘고환’ 발견한 20대 여성
  • ‘성녀’인가 ‘광녀’인가…‘싯다’로 추앙받는 여성 화제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