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이 유전적 특성에서 기인한다는 내용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진은 세계 최대규모인 영국 바이오뱅크(Bio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45만 2302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데이터에는 유전자적 정보와 함께 ▲함께 사는 가족이 있는지 ▲혼자 산다면 얼마나 자주 친구 또는 가족과 만나는지 ▲스스로 얼마나 자주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됐다고 느끼는지 ▲얼마나 자주 스스로 외로운 사람이라고 느끼는지 등의 질문에 대한 답변도 포함돼 있다.
분석 결과 외로움이나 고립감을 느끼는 사람에게서 총 15가지의 유전변이를 찾았다. 유전변이는 유전자의 변화, 유전자의 조합 변화, 염색체의 변화, 염색체수의 변화 등 유전 조성의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형질(形質)의 변이이며, 자손에게 유전한다.
연구진은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인 유전변이를 찾았으며,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 중 약 5%는 부모로부터 관련된 유전자를 물려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이러한 유전변이는 비만이나 낮은 학력, 신경질적인 성격 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체중이 감소하면 ‘외로움 유전자’의 성질도 변화를 보여서 이전보다 우울감이나 외로움을 덜 느끼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
연구를 이끈 존 페리 박사는 “우리는 외로움이라는 감정이 주변 환경 또는 경험하고만 연관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번 연구는 유전자 역시 외로움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외로움은 사외의 주요 문제 중 하나다. 특히 나이가 든 사람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면서 “우리는 유전자 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어떻게 이로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쳐 커뮤니케이션’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123rf.com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