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네이마르·음바페의 엄살, 원시인들에겐 생존 전략”(연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네이마르(사진=AP 연합뉴스)


올해 러시아 월드컵에서 브라질 대표팀의 네이마르와 우승을 차지한 프랑스 대표팀의 음바페가 보였던 할리우드 액션급 엄살에 많은 축구 팬이 눈살을 찌푸렸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속임수가 원시 시대에는 유용한 생존 전략이었다고 영국 서식스대 심리학자들이 주장하고 나섰다.


1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서식스대 연구팀은 프로 축구 선수들이 심판을 속이기 위해 보이는 엄살 중 비명은 초기 인류가 쓰던 효과적인 생존 전략과 매우 비슷하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팀은 고통을 설득력 있게 가장 또는 과장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생존에 유리한 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더욱 쉽게 끌 수 있는 것으로, 원시 시대의 비언어적인 소음에서 오늘날 복잡한 연설로 진화한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확대보기
▲ 음바페(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연구를 이끈 조너선 레인 박사는 “우리는 모두 축구에서 일부 선수가 보이는 엄살이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여기서 비명은 오늘날 언어의 진화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레인 박사는 고통을 가장하는 이런 행위가 임의의 소리를 만들어냈고 이는 나중에 초기 단어의 창조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진짜 통증은 인간 유아와 비인간 포유류 새끼들 모두가 우는 소리를 내게 하는 데 이는 자신을 돌봐주는 이들이 반응하고 도움을 주도록 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면서 “발가락을 부딪치는 것부터 출산까지 성인들도 고통 속에 비명을 지르지만 증거에 따르면, 인간은 일상적으로 상황과 기분에 따라 진짜 고통에 대한 소리 반응을 과장하거나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고통에 따른 울음소리는 우리의 내적 상태를 솔직하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 도구임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통증이 3단계로 커지는 상황을 표현하도록 훈련한 배우 3명의 발성을 녹음한 뒤, 청중에게 들려줬다. 청중들은 각 연기자의 발성이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를 평가했다.

그러고 나서 연구팀은 배우들이 목소리의 어떤 면을 조작했는지 그리고 그 소리를 들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줬는지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목소리 분석에서 이들 연기자가 아기나 다른 동물들이 진짜로 통증을 느꼈을 때 내는 소리와 비슷하게 목소리를 내 커지는 고통을 흉내 냈다는 것을 발견했다.

레인 박사는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매번 위험한 환경을 탐색해야 했던 우리 조상들에게 고통을 설득력 있게 가장 또는 과장해서 더욱 빠르게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이 능력은 생존에 중대한 이점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생물음향학’(Bioacoustics) 최신호(10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내 아내 강간할 男 구함”…남편이 약 80명 모집, 10년
  • 여중생에 ‘속옷 탈의’ 요구하는 의사들…“거부하면 검사 못
  • 타이어에 덮힌 러 전략폭격기…이유는 미사일 ‘어리둥절’
  • 수십 년 동안 문이나 괴던 돌 알고보니 15억원 가치 ‘호박
  • 日 신사서 성관계 맺어 ‘모독’ 혐의로 체포…유럽 남성 결국
  • (속보)푸틴, ‘치명타’ 입었다…러 수도, 우크라 대규모 공
  • 남편 포함 72명에게 10년간 강간당한 여성, 생생한 증언
  • 5년 뒤 지구로 돌진하는 초대형 소행성, 충돌 예측 결과 공
  • 최대 길이 8m…심해 3300m서 초희귀 ‘빅핀 오징어’ 포
  • 우크라 포로를 ‘칼’로 처형한 러軍…의미심장한 메시지 남겼다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