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다트머스대 경제학과와 프랑스 파리경제학교(PSE) 공동 연구진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유럽 35개국 성인남녀 약 100만명을 대상으로한 생활만족도 조사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전미경제연구소(NBER) 2월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데이비드 블랜치플라워 다트머스대 교수와 앤드루 클라크 PSE 교수가 공동 집필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가 재정적 어려움을 느끼면 자녀의 존재가 실제로 행복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적 어려움이 없다면 자녀의 존재는 행복감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이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물론 이번 연구에서 부모가 늘어나는 양육 비용에 대처하느라 재정난에 처하는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지만, ‘행복 이면의 경제학’ 전문가인 블랜치플라워 교수는 미 경제매체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보고서는 부모의 안녕(웰빙)에 경제 능력과 자녀의 존재가 서로 상반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처음으로 명확히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가 있어 행복하냐’는 기본적 질문에 부모들이 간단히나 복잡하게 설명한 일련의 대답들은 부모가 누구고 어떤 아이를 가졌느냐가 부모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예의 바르다’고 묘사된 자녀는 부모를 행복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만 2세 이하의 자녀가 그랬들이 말이다. 하지만 만일 부모가 미혼이나 이혼, 또는 사별해 혼자가 됐다면 자녀는 부모의 행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행복감에는 자녀의 나이 역시 영향을 줬다. 재정적인 어려움이 없다면 만 10세 이하의 자녀는 부모의 행복감을 높이지만, 만 10~14세 사이의 자녀를 둔 부모는 그 영향이 덜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의붓자녀를 둔 부모는 친자녀를 둔 부모보다 더 낮은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대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자녀의 존재는 부모의 재정 상태 만큼 부모의 행복감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아이를 키우는 데 돈이 많이 들지 않는다면 아이의 존재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미국에서 자녀 2명을 둔 중산층 부부가 각 아이를 태어나서 17세까지 키우는 데 드는 추산 비용은 23만3610달러 (약 2억6000만원)다. 영국에서는 아이 1명을 18세까지 키우는데 15만753파운드(약 2억2000만원)가 든다는 것이 최신 연구에서 밝히지기도 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자녀 1명을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평균 3억원이며, 그중 고등학교에서 대학 졸업까지 드는 교육비만도 1억2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123rf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