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주 농업부는 지난달 24일 미국 역사상 최초로 장수말벌 퇴치 작전을 벌였다. 곤충학자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보호복을 착용하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말벌 85마리를 빨아들였다.
이번 발견에 대해 한 곤충학자는 “분명 좋지 않은 신호”라고 우려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서 흔히 보이는 장수말벌은 서방에서는 ‘아시아 거대 말벌’(Asian giant hornet)로 불린다. 여왕벌 몸길이가 37~44㎜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큰 말벌로도 알려져 있다.
장수말벌은 꿀벌을 잡아먹어 양봉업계에 극심한 피해를 주는 탓에 ‘살인 말벌’로 통한다. 장수말벌 몇 마리가 단 몇 시간 만에 꿀벌 집 하나를 초토화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장수말벌 수십 마리가 꿀벌 3만 마리를 몇 시간 안에 몰살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국에서 장수말벌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건 지난해 10월이 사상 처음이었다. 이후 학자들은 장수말벌 3마리에 위치추적기를 달아 블레인 숲 사유지의 한 나무 구멍에서 둥지를 찾는 데 성공했다.
이후 진공청소기까지 동원해 말벌 퇴치 작전을 벌인 농업 당국은 이번엔 아예 둥지가 든 나무를 통째로 잘라왔다. 여왕벌 2마리도 이 과정에서 포획했다.
농업부 관계자들은 일단 자른 나무를 워싱턴주립대학교 연구소로 옮겼다. 학자들은 이산화탄소를 주입한 나무를 쪼개고 남아있던 벌집에서 장수말벌과 그 유충을 제거했다. 일부는 그때까지도 살아 움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업부는 앞으로 말벌 둥지와 그 내용물을 분석하고, 수거한 말벌 성체 표본의 수와 계급 등을 기록할 예정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