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타임스 등 해외 언론의 12일 보도에 따르면 우후루 케냐타 케냐 대통령은 케냐의 문화 및 생태 유산의 등대와도 같은 100년 된 무화과나무를 베어내지 않도록 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해당 무화과나무는 케냐 당국이 지난 10월 중국도로교량공사(CRBC)가 공사를 맡고 중국 정부가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는 나이로비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베어내겠다고 발표하면서 논란의 중심이 됐다.
수령 100년, 4층 높이의 이 나무는 케냐에서 규모가 가장 큰 민족인 키쿠유족이 신성하게 여겨온 것으로 알려졌다. 키쿠유족을 포함한 환경운동가들이 나이로비로 몰려왔고,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나무를 베어내는 것은 민족의 정기를 잘라내고 환경을 파괴하는 것과 같다며 반대 운동을 펼쳐왔다.
당국은 2022년 완공 예정인 이 고속도로가 나이로비 중심부의 교통량을 줄이고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설득을 시도했지만 소용없었다.
환경단체 측은 “애초부터 이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는 대기 질과 녹지 공간에 대한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었다”면서 “나이로비는 ‘태양의 녹색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상업 및 인프라 개발로 공원과 숲이 사라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고속도로 경로를 따라 수십 그루의 나무가 이미 베어졌다”며 환경 규제기관에 소송을 제기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결국 케냐타 대통령은 환경보호단체와 키쿠유족의 뜻을 받아들여 고속도로 공사는 이어가되 무화과나무를 베거나 다른 곳으로 이전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케냐의 나이로비~뭄바사 구간 도로 공사를 맡은 중국도로교량공사는 2010년대 초반부터 케냐를 포함한 아프리카에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 애써왔다. 중국이 거액을 지원하며 아프리카 국가 곳곳에 도로를 깔아주고 학교를 세워주는 배경에는 자원 확보라는 목적이 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지에서는 아프리카가 중국의 식민주의에 스스로 문을 개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거 제국주의 국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막대한 자금력으로 원자재를 가져가고 공산품을 팔아 아프리카 산업을 황폐하게 만든다는 것.
중국은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 여러 국가 등을 잇는 실크로드 경제 벨트 구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성장을 돕는다는 명목으로 자국의 영향력을 키우려는 의도가 다분하다고 비난하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