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오리건주립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미얀마에서 발견된 이 호박 조각 안에는 백악기 후기에 서식했던 고대 꽃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연구진은 이 꽃의 종이 지금까지 알려진 적이 없는 신종이라고 판단하고, 발빌로쿨루스 플레리스타미니스(Valviloculus pleristaminis)라고 명명했다. 이 식물은 꽃을 생식기관으로 갖고, 그 속에 씨앗이 들어있는 식물군인 속씨식물(피자식물)에 속하며, 사사프라스로 불리는 녹나무과 식물의 먼 친척뻘로 추정된다.
크기는 약 2㎜에 불과하지만, 꽃가루를 생산해내는 수꽃의 기관인 수술 약 50개가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배치돼 있는 등 당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적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발견은 새로운 고대 식물의 발견뿐만 아니라, 대륙이동설의 시기와 정의를 정립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지질학계의 관심도 사로잡았다.
1억 년 전 사사프라스는 현존하는 호주 지역에서 주로 서식했는데, 사사프라스의 먼 친척뻘에 해당하는 신종 고대 식물이 아시아에 속하는 미얀마에서 발견된 것은 1억 년 전 당시 호주와 아시아 대륙이 하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대륙이동설에 따르면 현재의 아프리카, 호주, 인도반도 및 남극 대륙 등은 고생대 말기부터 중생대까지 거대한 하나의 대륙이었다. 곤드와나대륙이 해체되면서 현재 아시아 대륙과 호주 대륙은 바다로 갈라지게 됐는데, 이번 고대 식물의 발견은 곤드와나대륙의 해체가 기존 예상보다 훨씬 늦게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연구진은 “1억 년 전 서식했던 이 고대 꽃은 곤드와나대륙에서 피어났고, 현재의 미얀마 서부로 옮겨지기 전 이미 호박에 갇힌 상태였을 것”이라며 “호박에 갇힌 이 꽃은 현재의 동남아시아 방향으로 천천히 약 6437㎞를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속씨식물은 약 1억 년 전 이미 진화를 시작해 매우 다양한 종이 존재 했다”면서 “크기는 매우 작지만 세부 기관들이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텍사스식물연구소(BRIT) 학술지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