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로 보이는 남자는 백발의 노모를 번쩍 안고 어디론가 뚜벅뚜벅 걷고 있다. 남자가 향하고 있는 곳은 코로나 백신접종센터가 설치돼 운영 중인 한 국립기술학교. 복수의 현지 주민들은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학교 주변에서 이런 모습을 꽤나 자주 볼 수 있다"며 사진을 찍어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렸다.
마땅한 이동 수단이 없으면 택시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경제가 엉망이 되면서 멕시코에선 교통비마저 부담스러운 사람들이 적지 않아졌다.
한 네티즌은 "버스비를 아끼려 걸어 다니는 사람들이 주변에 꽤 많다"며 "백신접종센터 주변에선 연로한 부모를 이런 식으로 모시고 가는 사람들이 자주 볼 수 있다"고 했다.
백신접종센터 관계자는 "고위험군 노인들을 상대로 우선적으로 접종을 실시하다 보니 거동이 불편한 분들이 많다"면서 "자식들이 그런 분들을 모시고 오는 모습을 보면 눈물겨울 때가 많다"고 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4일(이하 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멕시코는 14일 현재 300만 명 이상에게 접종을 완료했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스푸트니크 V, 코로나백 등 제조사를 가리지 않고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확보한 물량이 넉넉하지 않아 접종은 고위험군에게 우선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멕시코가 확보한 코로나 백신은 649만 도즈(1회 접종분)다. 파이자 백신이 322만 도즈로 가장 많고, 이어 코로나백 200만 도즈, 아스트라제네카 87만 도즈, 스푸트니크 V 40만 도즈 순이다.
60세 이상의 경우 지금까지 백신을 맞은 사람은 288만 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13.3% 정도다. 멕시코 인구조사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으로 우선 접종 대상인 국민은 약 1500만이다.
백신 부작용 의심사례는 1만1812건이 보고됐다. 이 가운데 중증은 총 89건으로 파이자가 70건, 아스트라제네카 11건, 코로나백 6건, 스푸트니크 V 2건이었다. 성별로 구분하면 여자 61명, 남자 28명으로 여자가 더 많았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